메뉴 건너뛰기
우리의 몸과 일상의 도구로 함께 소리내며 자신을 표현하는 시간. 우리가 내는 소리가 변화의 봄바람을 만들어 가길 기원하며 세월호 4주기 광화문 사전행사에서 시민들과 함께 거리 공연을 했습니다.
* 유뷰브에서 영상보기 : https://youtu.be/iZODIDejAos
* 참여연대 유튜브 채널 : https://goo.gl/L52MGb
<'페미니즘, 그 이로움에 대하여'를 주제로 강연 중인 손희정 문화평론가 ⓒ참여연대> 어제,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요즘 최대 ...
<삶의 절반이 지나고 있다는 생각이 들 무렵, 막연한 희망으로만 있던 그림그리기를 시작했다 ⓒ 참여연대> 본격적인 한파가 시작되던 12월의 첫째 토...
사법농단 vs 사법개혁 민주적 사법을 위한 개혁을 꿈꾸다 오늘 모임에서는 사법계의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기 위해 전문가(한상희 건국대 법학...
<그림 하나하나에 이야기가 얹어지면, 그림에 대한 애정이 샘솟는다 ⓒ참여연대> 지난 학기 미술학교 풍경페인팅 뒤풀이 자리였을 것이다. 선생님께서 ...
처음엔 먼저 테라코타를 접한 선배(?) 수강생들의 열화와 같은 강력한 추천으로 만나게 되었다. 인간은 흙에서 왔고 다시 흙으로 돌아간다고 하였...
<정형화된 틀안에서 더 높은 자유를 누린다 ⓒ 참여연대> 당신의 열정이 당신의 결정 이 한마디를 내뱉으며 [삶을 뱉는 랩 교실]이 시작됐다. ‘...
<고치고 또 고치고, 비트에 맞추어 가사를 쓴다 ⓒ참여연대> 안녕하세요 삶을 뱉는 랩 교실 수강생 이현민입니다. 저는 이번 강좌에 가장 마지막으로 ...
생소한 개념으로 가득차 있어 읽고 이해하기가 결코 쉽지는 않지만 김만권 선생님의 열정 넘치는 강의와 수강생들의 향학열이 어우러져 겨울밤을 빛내...
이제는 말할 수 있는 북한 역사의 비밀 세번째 강의 - 북한 경제구조의 기원 - '자력갱생’ 경제의 형성 #1. 들어가기에 앞서 이번 강좌를 ...
첫시간의 후기에도 드러나있듯 난해한 글을 더욱 미로로 빠지게 하는 번역 때문에 다가가기 어려운 한나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의 주요 부분을 정리...
‘내 생애 첫 사법감시’라니! 처음엔 타이틀이 그렇게 부담스러울 수가 없었다. 학부 때 산 법전은 몇 년 간 눈이 닿지 않는 책장 아래칸...
<알쓸신집> 강의진행기 우리 더불어 숲이 되어 지키자 세입자에게 무엇이 가장 필요할까? 주거권을 보장하라!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라! 전월세...
<깨알진행은 기술이기 보다는 태도가 아닐까 생각했다 ⓒ 참여연대> 와하 가을 학기가 빠르게 지나갔습니다. 6주 만에 "회의 참여자들 모두가 만족하는...
북한무력의 기원 -조선인민군 창설 1945년 8월에 한국인들은 식민지 상태에서 해방되었다. 하지만 한반도에는 미군과 소련군이 각각 38도선을 기준으...
우리의 몸과 일상의 도구로 함께 소리내며 자신을 표현하는 시간. 우리가 내는 소리가 변화의 봄바람을 만들어 가길 기원하며 세월호 4주기 광화문 사...
후기를 작성하기에 앞서, 이 후기는 ‘아, 나는 한국어를 잘 못하는 사람인가?’라는 회의를 느끼면서 <인간의 조건>을 읽은 사람이 썼다는 ...
북한 체제의 기원- 인민 위의 계급, 계급 위의 국가(김재웅) 1. 들어가기에 앞서 한국에서 북한이라는 단어를 입에 담으려면 제법 용기가 필요하다. ...
사람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때 빛난다. 지난여름 어느 공연을 보며 든 생각이다. 내가 좋아하고, 사회에 유익한 일을 하며 반짝이는 삶을 살고 싶...
<이왕하는거 푹 빠져보자고 생각했다 ⓒ참여연대> 교육이 아닌 배움으로, 가랑비에 옷 젖듯 스며드는 '깨알진행러 되기' 처음 강의실에 들어섰...
자신이 벌어온 소득의 반 이상을 주거비로 내는 오늘날, 안정적으로 머물 공간에 대한 불안함은 여전합니다. 이러한 흐름 속 셰어(share)하우스, 빈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