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철학 강의 후기 때도 떠들어댔던 바, 난 10대 소년의 마음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30대 후반의 아줌마... 그러므로 이건 뭐 어른도 아니고 아이도 ...
"이러다 전쟁나는거 아냐?" 지난 20일 국방부 민군합동조사단이 결정적 증거인 "1번"을 들이밀며 북한이 공격했다고 조사 결과를 발표한 날, 이곳 저곳...
5.18 기념식장에 방아타령이 연주된다. "5.18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대신 <방아타령> - 오마이뉴스" 천박함을 넘었다. 우습다. 광주 30년 무엇...
쓰레빠. 혹시 마음 한켠에서 ‘슬리퍼’로 고쳐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우리 말에 뿌리내린 일제의 잔재를 청산해야 한다는 의무감 말이죠. 하...
'내가 만들어 보는 사극 시놉시스 발표와 강평' 이라는 주제로 마지막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마지막 강의를 위해 5주차에 조편성을 하였고 ...
tv채널을 돌리다가 커피프린스라는 드라마 재탕하는 걸 보게 되었다. 재밌다 헤헤... 쿡tv로 4일 동안 잠 안고 18화까지 전부 독파했다. 1회당 60분 정...
4월 13일 [서울, 도시와 공간의 인문학] 강좌가 막을 올렸다. <서울은 깊다>의 저자이신 전우용 선생님이 1강과 2강의 강의를 맡아 열강해주셨다. 전우...
어느덧 7강입니다. 남은 8강이 조별 시놉시스 발표라는 것을 감안하면, 사료를 토대로 기존 역사드라마를 재고찰하는 것은 마지막인 셈입니다. 매 강의...
엉기조차 벙기조차 엉기벙기 버벙기. 무슨 말인가 싶으시죠? 어릴 적 읽었던 전래 동화 속 주인공 이름입니다. 몇 명 자식을 낳았지만 모두 일찍 죽어...
<'마지막'이라는 단어> '마지막'이라는 단어는 힘이 세다! 마지막 순간, 마지막 회, 마지막 숨소리, 마지막 세일, 마지막 사랑, 마지막 수업... '마지...
어릴때 소세지 도시락 반찬이 너무 부러워, 어머니께 조르면, ‘돈 없어 안돼’ 였다. - 경제적으로 어려웠다. ‘소세지반찬’과 ‘돈’이 어떤 관계인지 몰...
3월 8일부터 김동춘 선생님의 <되살아나는 과거, 대한민국의 역주행>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용산참사나 기무사의 민간인사찰 논란처럼 M...
태조 이성계를 시작으로 마지막 왕인 27대 순종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성군이라 칭하는 왕중에서 빠지지 않는 왕이 바로 22대 정조일 것 입니다. 그...
무엇이 삶의 가치를 드높이는가? 강의자/ 김찬호(성공회대 교양학부 교수) 1.반성과 성찰을 위한 돈의 인문학 우선 강의의 시작은 현재의 우리를 돌아...
이 글은 느티나무 자원활동가 박현아님이 보내주신 후기 입니다. 인생에서 철학이 절실했던 순간 내 나이 어느덧 30대 후반. 인생의 절반을 살아내면서...
민주주의 학교 강의를 들은 후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봤습니다. 복습도 열심히 하려구요..^^ 콤플렉스란 무엇인가? 검색해 보니 '잠재된 감정의 복합...
<시민의 눈으로 과학기술을 보다> 4강 후기입니다.강의 시간에 다루신 주제와 조금 다른 접근을 해봤습니다. 어디까지나 사견이니 강의 내용과 혼동 ...
<시민의 눈으로 과학기술을 보다> 3강 후기입니다.강의 시간에 다루신 주제와 조금 다른 접근을 해봤습니다. 어디까지나 사견이니 강의 내용과 혼동 없...
3월 31일 저녁, <삶의 주인이 되는 돈의 인문학> 제 4강이 열렸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제윤경 대표님께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다양한 실제 사례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