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년 4월 2일 강의 자크 데리다 <법의 힘> 지난 시간 미셸 푸코에 의해 멘붕(?)과 깊은 우울을 겪으셨나요? 저 같은 경우엔 푸코가 충격적이거나 우...
4강에서 글쓰기 워밍업을 했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웨이트를 시작할 차례입니다. 초보자가 쓸 수 있는 문장 중 가장 좋은 문장인 무엇일까요? 바로 '간...
고전으로 이해하는 정치철학 <당대편>에서 세 번째로 다룬 고전은 미셸 푸코의 1975년 작 <감시와 처벌>이다. <감시와 처벌>은 그의 대표작이자 동시...
드디어 글쓰기 강의가 시작되었습니다. 4강의 제목이 '이태백이 아니라 두보다.' 인데요. '김훈이 아니라 강준만이다.'라는 표현이 이번 글쓰기 강좌를...
이번 3강 주제는 바로 '인터뷰'입니다. 우리가 블로그를 운영하든 책을 쓰든 자신만의 컨텐츠를 잡았다면, 그 컨텐츠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 것이 중...
지난 3월 19일. 김만권 선생님의 두 번째 수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독일의 철학자 유르겐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에 대해 알아보...
지난 강의가 글쓰기를 위한 '컨텐츠'에 방점을 찍었다면, 이번 강의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팩트'에 중점을 두고 진행 됐습니다. 우리가 만약 남들이 하...
지난 목요일(3월12일) 김만권 선생님의 정치철학 당대편, 첫 수업이 있었습니다. 수업은 수강생 분들의 자기소개로 시작되었는데요, 1)수업을 듣게 된 ...
2014년 12월, 헌법재판소는 통합진보당을 해산하고 통합진보당 의원들의 의원직까지 박탈하는 판결을 내렸다. 헌재의 이번 판결에 대해 여러 가지 의...
'글'이라는 단어를 떠올렸을 때 우리는 흔히 시, 소설, 희곡 등 문학을 먼저 생각한다. 그리고 '글쓰기'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보통 나와는 다른 영역이...
[김만권 정치철학 <정치를 이해하기 위한 여섯 가지 키워드2>] 6강(2/26), 시민 불복종 강의소개 보기 >>클릭 1강 후기 보기 >> http://bit.ly/1BQOFW...
시민의 눈으로 과학기술 읽기: 과학기술 시티즌십을 찾아서 6강) 식품 안전과 시민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가 매일 먹는 식품도 빠르...
시민의 눈으로 과학기술 읽기: 과학기술 시티즌십을 찾아서 5강) 소셜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시민의 탄생과 활동 현대사회로 올 수록 우리는 전문가체계...
[김만권 정치철학 <정치를 이해하기 위한 여섯 가지 키워드2>] 5강(2/10), 시민 강의소개 보기 >>클릭 1강 후기 보기 >> http://bit.ly/1BQOFWr 2강 후...
시민의 눈으로 과학기술 읽기: 과학기술 시티즌십을 찾아서 4강) 에너지 소비자에서 에너지 시민으로: 탈핵과 재생에너지 지난 2강에서 기후변화에 대...
[김만권 정치철학 <정치를 이해하기 위한 여섯 가지 키워드2>] 4강(2/03), 헌법 강의소개 보기 >>클릭 1강 후기 보기 >> http://bit.ly/1BQOFWr 2강 후...
귀국한 이후 오랜 시간 동안 참여연대 느티나무 아카데미에서 활동했다. 재미있는 건 참여연대에서 강의한다 그러면 진보 성향이라 불리는 선생님들조...
[시민의 눈으로 과학기술 읽기: 과학기술 시티즌십을 찾아서] 3강(1/28), 과학기술사회에서 바람직한 시민상 강의소개 보기 >>클릭 1강 후기 보기 >> h...
[김만권 정치철학 <정치를 이해하기 위한 여섯 가지 키워드2>] 3강(1/27), 합의 강의소개 보기 >>클릭 1강 후기 보기 >> http://bit.ly/1BQOFWr 2강 후...
[김만권 정치철학 <정치를 이해하기 위한 여섯 가지 키워드2>] 2강, 평등 강의소개 보기 >>클릭 1강 후기 보기 >> http://bit.ly/1BQOFWr 공공선 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