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다음과 같은 첫 질문으로 두 번째 토크가 시작되었습니다. “연금은 예금인가? 아니면, 보험인가?” 국민연금에 대한 두 번째 토크 내용을 ...
-세 번째 강의, 주제는 '조세 재정'이었습니다. 강의 내용 옮겨봅니다. 세금 이야기에 다들 민감한 반응을 보이지만, 그저 언론에서 이야기하...
지난 강의와 이번 강의를 들으며 흔히 말하는 일반적이라 여겨지는 것, 자연스럽다 여겨지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식으...
[촛불시민혁명과 다른 세상을 위한 사회운동론] 5강 / 노동의 위기, 노동운동의 위기 / 4월 5일 이남신_한국 비정규노동센터 소장 <노동의 위기,...
[촛불시민혁명과 다른 세상을 위한 사회운동론] 6강 / 대의제의 위기, 새로운 주체와 기획 박진_인권운동가, 박근혜정권퇴진 비상국민행동 공동상황실...
제 3강. 이성애만 하는 것이 더 이상하지 않을까? 앞서 강의에서 계속해서 성차가 없다는 이야기를 해왔습니다. 성차가 없다는 것은 우리가 ‘성...
코바야시 타끼지는 1903년 몰락한 농가에서 태어나 백부의 도움으로 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은행에 근무를 했다. 1933년 경찰에게 체포되어 고문당하...
<젠더, 섹슈얼리티, 민주주의 - 오해와 편견을 넘어서>강의를 관통하는 주제는 당연시 해왔던 것에 질문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이번 강의...
[촛불시민, 헌법을 밝히다] 한상희 건국대 교수 1강(170508) - 국가 : 민주공화국에서 주인되어 ▣ 본론에 앞서 ‘입헌적 민주주의를 위한 헌법 바꾸...
제 5강. 가족과 사회 : 인간과 조건을 묻다 -한채윤 강사님 우리에게 전제되어 있는 것. 5강까지 진행되어 오면서 계속해서 성별의 기본형과 같이 ...
[지리적 상상력, 운명의 지도를 바꾸는 힘] 1강_왜 지금 지리적 상상력인가? 강의자: 김이재 문화지리학자, 경인교대 교수 수업일자: 5월 16일 지리적 ...
[촛불시민, 헌법을 밝히다] 한상희 건국대 교수 2강(1705116) - 인권과 기본권, 그리고 한국사회 ▣ 헌법의 기본원리 대한민국을 이끌어나가는 주요한 ...
요동치는 세계를 이해하는 정치철학 키워드 1강 세계화 / 반세계화 작년 제네바 유엔본부의 인권이사회에 담당인턴으로 있을 때 당시 가장 말이 많았던...
요동치는 세계를 이해하는 정치철학 키워드 2강 포스트 민주주의 사람은 흔히 미래를 생각할 때 다양한 감정을 느낀다. 하지만, 이 감정은 유동적이고 ...
[지리적 상상력, 운명의 지도를 바꾸는 힘] 2강_지리적 상상력으로 운명을 바꾼 사람들 강의자: 김이재 문화지리학자, 경인교대 교수 5/23(화) 수...
[촛불시민, 헌법을 밝히다] 한상희 건국대 교수 3강(170523) - 권력 : 본래는 내 것이지만 이번시간에는 배운 내용이 많은 관계로 중요한 부분을 ...
세계경제가 세계시민을 만나 주춤하는 사이, 지구가 숨을 쉬다 세계시민이 뭐라고 생각하나요? 본인이 세계시민라고 생각하나요? 강의 들목 오랜만에 ...
[촛불시민, 헌법을 밝히다] 한상희 건국대 교수 4강(170530) - 헌법 : 우리가 바꾼다 *통치기구론 ▣ 대의제와 권력분립 대의제란 주권자인 국민이 스...
서울드로잉 13기 전시회 서울, 모든 길이 좋았다 전시일정 _ 2017년 6월 3일(토) ~ 13일(화) 오프닝행사 6월 3일(토) 오후 3시 관람시간 _ 12:00 ~ 19:...
[지리적 상상력, 운명의 지도를 바꾸는 힘] 3강_지리적 상상력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 강의자: 김이재 문화지리학자, 경인교대 교수 3강에서는 2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