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람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때 빛난다. 지난여름 어느 공연을 보며 든 생각이다. 내가 좋아하고, 사회에 유익한 일을 하며 반짝이는 삶을 살고 싶...
북한 체제의 기원- 인민 위의 계급, 계급 위의 국가(김재웅) 1. 들어가기에 앞서 한국에서 북한이라는 단어를 입에 담으려면 제법 용기가 필요하다. ...
후기를 작성하기에 앞서, 이 후기는 ‘아, 나는 한국어를 잘 못하는 사람인가?’라는 회의를 느끼면서 <인간의 조건>을 읽은 사람이 썼다는 ...
우리의 몸과 일상의 도구로 함께 소리내며 자신을 표현하는 시간. 우리가 내는 소리가 변화의 봄바람을 만들어 가길 기원하며 세월호 4주기 광화문 사...
북한무력의 기원 -조선인민군 창설 1945년 8월에 한국인들은 식민지 상태에서 해방되었다. 하지만 한반도에는 미군과 소련군이 각각 38도선을 기준으...
<깨알진행은 기술이기 보다는 태도가 아닐까 생각했다 ⓒ 참여연대> 와하 가을 학기가 빠르게 지나갔습니다. 6주 만에 "회의 참여자들 모두가 만족하는...
<알쓸신집> 강의진행기 우리 더불어 숲이 되어 지키자 세입자에게 무엇이 가장 필요할까? 주거권을 보장하라!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라! 전월세...
‘내 생애 첫 사법감시’라니! 처음엔 타이틀이 그렇게 부담스러울 수가 없었다. 학부 때 산 법전은 몇 년 간 눈이 닿지 않는 책장 아래칸...
첫시간의 후기에도 드러나있듯 난해한 글을 더욱 미로로 빠지게 하는 번역 때문에 다가가기 어려운 한나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의 주요 부분을 정리...
이제는 말할 수 있는 북한 역사의 비밀 세번째 강의 - 북한 경제구조의 기원 - '자력갱생’ 경제의 형성 #1. 들어가기에 앞서 이번 강좌를 ...
생소한 개념으로 가득차 있어 읽고 이해하기가 결코 쉽지는 않지만 김만권 선생님의 열정 넘치는 강의와 수강생들의 향학열이 어우러져 겨울밤을 빛내...
<고치고 또 고치고, 비트에 맞추어 가사를 쓴다 ⓒ참여연대> 안녕하세요 삶을 뱉는 랩 교실 수강생 이현민입니다. 저는 이번 강좌에 가장 마지막으로 ...
<정형화된 틀안에서 더 높은 자유를 누린다 ⓒ 참여연대> 당신의 열정이 당신의 결정 이 한마디를 내뱉으며 [삶을 뱉는 랩 교실]이 시작됐다. ‘...
처음엔 먼저 테라코타를 접한 선배(?) 수강생들의 열화와 같은 강력한 추천으로 만나게 되었다. 인간은 흙에서 왔고 다시 흙으로 돌아간다고 하였...
<그림 하나하나에 이야기가 얹어지면, 그림에 대한 애정이 샘솟는다 ⓒ참여연대> 지난 학기 미술학교 풍경페인팅 뒤풀이 자리였을 것이다. 선생님께서 ...
사법농단 vs 사법개혁 민주적 사법을 위한 개혁을 꿈꾸다 오늘 모임에서는 사법계의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기 위해 전문가(한상희 건국대 법학...
<삶의 절반이 지나고 있다는 생각이 들 무렵, 막연한 희망으로만 있던 그림그리기를 시작했다 ⓒ 참여연대> 본격적인 한파가 시작되던 12월의 첫째 토...
<'페미니즘, 그 이로움에 대하여'를 주제로 강연 중인 손희정 문화평론가 ⓒ참여연대> 어제,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요즘 최대 ...
1. <페미니즘, 한국 남자를 말하다> 강연 참가 후기 참여연대에서 진행한 <페미니즘, 한국 남자를 말하다> 수업을 듣고 왔다. 최태섭과 손희정...
<'한국 남자는 왜 억울해 하는가'를 주제로 강연 중인 최태섭 문화평론가 ⓒ참여연대> '페미니즘, 한국 남자를 말하다' 첫 번째 강의로 문화평론가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