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콜린 크라우치의 '포스트 민주주의'를 함께 공부하는 김만권 선생님의 독서클럽. 그 두 번째 강의에서는 민주주의를 사실상 장악하고 있는 수퍼리치/초...
신년 북 토크 "우리는 왜" 제 1강 <공부중독> - 엄기호. 2016년 2월 4일 목요일, 오후 7시~9시 1부 : 강의 1. 서론 1) 교육의 양극화 현상 : 이제는...
신년 북 토크 "우리는 왜" 제 2강 <인권 오디세이> - 조효제. 2016년 2월 11일 목요일, 오후 7시~9시 1. 서론 상대방의 세계관이나 사상, 관심사...
신년 북 토크 "우리는 왜" 제 3강 <대한민국은 왜?> - 김동춘. 2016년 2월 18일 목요일, 오후 7시~9시 한국 사람들은 왜 이렇게 불행한가? 그 원...
‘정치는 공학이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여러 정치현상에 대해 컴퓨터나 여론조사 등의 계량적·통계적 방법을 사용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시민이 짓는 새로운 민주주의라는 전망 2016.03.17 (목) 김만권 선생님 2014년 4월 17일에 열려고 했던 강의. 그러나, 바로 전 날 세월호 사건이 터져 ...
<우리 정치는 무엇을 잃어버렸나> 김만권 선생님의 "시민정치와 정당청치가 함께하는 민주주의 새로 짓기" 두번째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이 강의에서...
<선거제도와 정당> 3/31일 목요일은 김만권 선생님의 "시민정치와 정당정치가 함께하는 민주주의 새로 짓기" 의 세번째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
4월 5일 화요일에 주진오 선생님의 <우리 역사 속 여성사 기행> 첫 강의가 있었습니다. 먼저 단체 OX퀴즈 형식으로 이 강좌에 참여하는 분들이 서로 알...
1. 대중음악의견가이신 서정민갑 선생님의 특강으로 강의가 시작되었다. 선생님께서 우리게에 '음악이 무엇인가?'라고 질문을 던졌다. 음악은 무엇일...
뒤집어 보는 종교 전쟁 평화, 첫 강좌는 조용한 질문과 함께 시작하였다. 전쟁의 종교인가? 평화의 종교인가? 올바른 – 그리고 요구되는 - 정답은 아마...
지난 4월 12일 '왜 신라에만 여왕이 있었을까?: 여왕 통치의 성공과 실패'를 주제로 한 2강이 열렸습니다. ‘원시시대부터 신라의 여왕들’까지의 시기...
3강은 ‘어느 고려부인의 일생: 시집가지 않는 여자’를 주제로 이루어졌다. 고려시대의 성과 여성의 삶에 대하여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고려시대...
지난 5월 6일 <우리 역사 속 여성사 기행> 4번째 강의가 있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조선시대 여성들이 살아간 모습을 다루었습니다. 먼저 같은 조...
한국 자본주의, 왜 분노해야 하는가-장하성(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아래에서 사용되는 그래프와 이미지는 인터넷을 통해 비슷한 그래프를 제가 찾아본...
5월 10일 제 5강에서 '열녀, 죽임인가? 죽음인가?'라는 주제로 쟁점토론을 진행한 데 이어서, 17일에는 제 6강 '근대 여성의 아이덴티티: 현모양처론...
* <삶을 예술로, 삶을 축제로> 주제로 진행한 리추얼워크숍을 마치며 참여자들이 짧게 적어본 소감문을 나눕니다. - 내가 경험한 리추얼 워크숍은 있는...
아카데미느티나무 6월 월례특강 후기 (윤채영) 요즘 한국은 ‘여성 혐오 범죄’와 ‘성폭력’ 문제로 시끄럽습니다. 사람들은 &l...
김만권 선생님을 모시고 미국 대선 따라잡기를 시작한 첫 날입니다. 미국 대선을 따라잡기에 앞서, 미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습...
잊혀진 혁명가들 : 조선 공산주의 운동과 인물들 1강 6월 29일 수요일, 박노자 선생님의 강의가 참여연대 아름드리홀에서 진행됐습니다. 여유를 두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