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아카데미느티나무 2016년 활동 영상입니다. 2016년 12월 12일 송년회에서 함께 나누었습니다.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는 10월 24일부터 매주 월요일 6회에 걸쳐 '희망의 사회학 -먹거리 대안찾기'를 주제로 연속 강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1...
10월 7일 개강한 [자녀와 부모가 함께 행복해지는 길] 강좌가 이제 중반을 넘어가고 있습니다. 내일(11/4)은 "공부, 얼마만큼 잘 해야 할까" 라는 제목...
혁명과 전쟁의 20세기 후반기 세계문학 세번째 강연의 주제는 ‘북베트남 작가가 본 베트남 전쟁의 실상’이었다. 1960년 중후반부터 1975년까지 있었던 ...
두 번째 강연주제는 소설 [위미]를 통해 중국의 70-80년대 문화대혁명과 이 시기 농촌의 모습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었다. 서두에 작가 비페이위에 대한...
4번의 강의가 소박하지만 긴 울림을 남기고 끝났다. 적어도 나에게는... 적정수강인원이 채워지지 않았다고 걱정하는 정세윤간사의 부담을 쬐꼼 덜어주...
해방감 by 나봉 이번 아카데미 느티에 참여하며 나를 꽉 짓누르고 있던 껍데기 한 겹을 벗겨낼 수 있었다. ‘정상성’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는 소수자...
<한성, 경성, 서울을 걷다> 강좌가 25일과 27일에 진행되었습니다. 답사는 남산 조선신궁터를 시작으로 명동성당 - 한국은행앞 광장 - 서울시청 광장(...
4강 - 김동춘 교수<한국전쟁 60년, 한반도와 세계>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했던가. 한국의 냉전적 사고, ‘좌파&...
[한국전쟁 60년 기념강좌 3강 - 한국전쟁, 그리고 사람들] 이번 강의를 듣기 전에 가장 궁금했던 것은 “김귀옥 교수님은 한국전쟁의 어떤 부분에 주목...
"이러다 전쟁나는거 아냐?" 지난 20일 국방부 민군합동조사단이 결정적 증거인 "1번"을 들이밀며 북한이 공격했다고 조사 결과를 발표한 날, 이곳 저곳...
요즘 ‘복지’혹은 ‘복지국가’라는 말들을 여기저기에서 심심찮게 많이 듣게 된다. 그러나 사회복지를 전공하지 않은 일반 시민...
3월 14일부터 [복지국가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복지국가에 대한 막연한 오해나 두려움을 넘어, 복지국가를 ...
“자, 오늘 여러분은 저와 함께 갑신정변 군이 되어 그 길을 따라가 보는 겁니다.” 참여연대 교과서 저자와 함께 읽는 한국 근현대사 4강...
“여러분들은 왜 역사를 공부하나요?” 한 질문과 함께 교과서 저자와 함께 하는 근현대사 산책 첫 수업은 시작 되었다. 참여연대 느티나무 ...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는 9월 8일부터 5회에 걸쳐 '한국 ODA의 길을 묻는다' 시민강좌를 진행합니다. 마지막 강연 '여성, 개발현장에서 소외되다' 중...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는 9월 8일부터 5회에 걸쳐 '한국 ODA의 길을 묻는다' 시민강좌를 진행합니다. 네번째 강연 '분쟁국 원조와 원조의 군사화, 새...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는 9월 8일부터 5회에 걸쳐 '한국 ODA의 길을 묻는다' 시민강좌를 진행합니다. 첫번째 강연 '국제사회가 말하는 ODA의 허와 실...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는 9월 8일부터 5회에 걸쳐 '한국 ODA의 길을 묻는다' 시민강좌를 진행합니다. 두번째 시간으로 '개발원조가 부른 환경파괴와 ...
39살, 40대의 시작이 얼마 남지 않았다. ‘한 살 나이 더 먹는 게 별거냐’ 싶으면서도, 왠지 40대라는 숫자가 올 초부터 나에게 묵직한 기운을 전하고 ...
며칠 후면 칼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을 함께 공부하는 강좌가 느티나무에서 열립니다. 아래의 글은 참여연대가 펴내는 월간 회원소식지 <참여사회>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