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과 헌법의 인문학] 강좌가 내일(11/2) 개강합니다. 강좌 개강에 앞서 강의를 진행해주시는 서울대 서양사학과 최갑수 선생님께서 아래의 책들을 ...
안녕하세요. 참여연대 김민수 간삽니다. ^^ 지난 2강은에스킬루스의 3부작 [오레스테이아]를 위주로 강의가 진행됐습니다. 책을 읽고 오지 않으니 영 ...
요즘 ‘복지’혹은 ‘복지국가’라는 말들을 여기저기에서 심심찮게 많이 듣게 된다. 그러나 사회복지를 전공하지 않은 일반 시민...
안녕하세요. 참여연대 김민수 간삽니다. ^^ 비극강좌 2강은 에스킬루스 오레스테이아 3부작 (아가멤논,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자비로운 여신들) 을 중...
자녀에게 질문이 아니라 심문만을 하고 계시지는 않은가요? 어제(10/21) 느티나무에서는 [자녀와 부모가 함께 행복해지는 길] 세번째 강의가 있었습니...
6.2지방선거를 통해 복지는 정치적 화두로 떠올랐고, 그 이후 복지국가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민주주의와 진보, 한...
10월 13일 ‘디자인, 사회를 바꾸다’ 강좌의 마지막 강의(한국 도시디자인과 정체성) 후기는 임재홍 자원활동가가 작성했습니다. - 느티나무 김민수 교...
오는 11월 13일은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고 외치며 자신의 몸에 스스로 불을 붙인 고 전태일 열사의 40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참여연대 노동사회위원...
오늘(10/12) [에로스, 삶을 사랑하는 지혜]강좌의 다섯번째 강의를 진행해 주셨던 성태용 선생님이 《바가바드기타》라는 책을 추천해 주셨었지요. 너...
맥주에 관한 강좌가 있다는 것을 알았을때부터 찜 해두었었습니다. "그래! 나를 위한 강좌야!" 백경학 이사님의 첫강의에서 많은 것을 듣고 배웠습니다...
지난 주 김남근 변호사의 첫 강의에 이어 이번 주 2강은 「부동산 계급사회」의 저자이신 손낙구 강연자를 만나는 자리였다. 강의 주제는 ‘대한...
1강 부동산 덫에 걸린 한국사회와 시민운동 2009년은 하룻밤새 여섯 생명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용산참사로부터 출발했다. 그러나 그 여섯 죽음은 한국...
끝나지 않은 세계경제위기와 G20 (강사: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현재 한국은 11월에 있을 G20 정상회의로 소란스럽다. 정부에서는 G20이 ...
지난 목요일(9월 2일) 느티나무 가을 강좌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그 첫 마당은 <삶과 문화가 있는 맥주 이야기> 입니다. 1강에는 <나의 맥주이야...
4강 - 김동춘 교수<한국전쟁 60년, 한반도와 세계>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했던가. 한국의 냉전적 사고, ‘좌파&...
4번의 강의가 소박하지만 긴 울림을 남기고 끝났다. 적어도 나에게는... 적정수강인원이 채워지지 않았다고 걱정하는 정세윤간사의 부담을 쬐꼼 덜어주...
"아담스미스"라는 단어를 들으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단어가 '자유방임'과 '보이지 않는 손'이다. 그리고 이 두 단어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시장 규제 ...
[한국전쟁 60년 기념강좌 3강 - 한국전쟁, 그리고 사람들] 이번 강의를 듣기 전에 가장 궁금했던 것은 “김귀옥 교수님은 한국전쟁의 어떤 부분에 주목...
‘노래=음악’인 걸까요? 물론 노래는 음악의 속성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그 가사 덕에 문학일 수도 있죠. <서울, 도시와 공간의 인문학> 일...
지난 철학 강의 후기 때도 떠들어댔던 바, 난 10대 소년의 마음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30대 후반의 아줌마... 그러므로 이건 뭐 어른도 아니고 아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