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 오늘 여러분은 저와 함께 갑신정변 군이 되어 그 길을 따라가 보는 겁니다.” 참여연대 교과서 저자와 함께 읽는 한국 근현대사 4강...
<공동체, 그 매력과 두려움> 4강 후기 누군가는 또 다시 누군가와 만나게, 그렇게 돼 있다. 아니라고? 음.... 아님, 말고..... 벌써 강의가 네 번째 시...
“여러분, 서울 하면 떠오르는 작가가 있나요?” 오르한 파묵의 책으로 총 3강을 맡아주신 이난아 선생님의 마지막 강의였다. 이스탄불은 ...
오르한 파묵을 다룬 세번째 수업이자, 이슬람 문학 수업의 4강은 오르한 파묵의 <이스탄불>을 다뤘다. <이스탄불>은 세계적 작가의 반열에 오른 터키...
소설가란 개미와 같은 끈기로 조금씩 거리를 좁혀가는 사람이며 마법적이고 몽상적인 상상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그 자신의 인내심으로 독자들을...
코끼리보다 못한 인간들이 모여 ‘함께 살기’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 생각보다 많은 수강생들이 모여들었다. 모두들 외로웠던 것이다. 첫 강의를 맡아주...
“여러분들은 왜 역사를 공부하나요?” 한 질문과 함께 교과서 저자와 함께 하는 근현대사 산책 첫 수업은 시작 되었다. 참여연대 느티나무 ...
김진숙,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이게 아닌데, 내 맘은 이게 아닌데 널 위해 준비한 오백 가지 멋진 말이 남았는데 사랑한다는.....
세력확장에 나선 미국과 중국,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말 안 듣는 동생, 친했다가 오래 전에 싸우고 아직도 사이가 안 좋은 친구, 끊어진 호랑이의 ...
참여연대 2012 평화학교 -38선 아래 ‘레알’ 청춘들에게-의 첫 강좌는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이남주 소장(성공회대 중국학과 교수)님께서 맡아주셨습니...
왜 브라질 리우를 주목해야하는가? 3월 15일 늦은 7시 이대훈 강사와 함께한 강의였다. 참여연대 ‘RIO정상회의, 이면과 진실’의 첫 강의 ‘왜 브라질 리...
[강좌 후기] 위기의 지구환경, 그린이코노미의 진실은 3월 22일 저녁 참여연대 느티나무 홀에서 ‘위기의 지구환경, 그린이코노미의 진실은’ 이라는 조...
[후기] 빈곤퇴치 약속 20년, 왜 세계는 여전히 굶주리고 있는가 ‘Rio정상회의, 이면과 진실’의 마지막 강연은 이성훈 한국인권재단 상임이사와 2012년 ...
2011년 겨울, 아카데미 종강파티에서 김상남수강생의 여성의 몸 강좌 워크숍 수강 PT입니다. 강좌 신청에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참여연대 시민참여팀 간사 이진선입니다. 지난 12월 27일부터 시작한 참여연대 청년아카데미 1기가 1월 19일까지 총 8회 강좌로 잘 마무리...
어제(8일) 교과부에서 ‘중학교 새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을 발표했습니다. 논란이 되고 있는 "국사편찬위원회가 제시한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 ...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는 10월 24일부터 매주 월요일 6회에 걸쳐 '희망의 사회학 -먹거리 대안찾기'를 주제로 연속 강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1...
8월 30일부터 가을학기 강좌 [집의 인문학 : 아파트 공화국에서 다시 집을 생각한다]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단순히 자산증식의 수단으로...
오마이뉴스에 게재된 <교과서를 통해 본 한국근현대사 4강 후기>를 함께 공유합니다. 글은 김도형 인턴이 작성해 주셨습니다. 원문 출처 :http://bit.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