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월 14일부터 [복지국가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복지국가에 대한 막연한 오해나 두려움을 넘어, 복지국가를 ...
강의중에 언급되었던 여러 책이 있었습니다. 나중에라도 읽고 싶은 분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목록의 정리와 아래 글은 수강생 가운데 한분이 ...
[강좌후기] 중동 북아프리카 현대사의 두 개의 키워드 - 석유와 미국 중동 북아프리카 민주화 혁명의 오늘과 내일 4월 12일, ‘중동 북아프리카 민주화...
[강좌후기]중동 북아프리카의 현실과 재스민 혁명의 의미 중동 북아프리카 민주화 혁명의 오늘과 내일 참여연대는 4월 한 달 동안 중동 북아프리카 지...
4월 5일(화)부터 중동 민주화 혁명의 오늘과 내일이라는 제목으로 최근 중동 민주화 혁명과 관련한 강좌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번 강좌와 관련해서 ...
[복지국가에 대한 오해와 진실]강좌의 두번째 강의가 3월 31일(월)에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김연명 선생님의 강의로 진행되었습니다. 선생님의 열정...
[성찰과 치유를 위한 꿈작업] 강좌가 20명 정원을 꽉 채워 개강했습니다. 꿈작업 강좌에 많은 관심을 보여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꿈작업을 진행해 주시...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2010년 여름강좌로 진행된 <김수행 교수와 함께하는 국부론 읽기> 강좌가 온라인 강좌로 서비스 됩니다. 정말 애덤 스미스...
1977년 처음으로 500인 이상을 고용하는 대기업에서 먼저 실시되었던 의료보험제도는 전체 인구의 고작 8.6%만 혜택을 받았다. 병원 한 번 가려면 대기...
안녕하세요. 참여연대 아카데미 김민수 간삽니다. ^^ 이번 2010년 가을학기 우쿨렐레 강좌 최연로(?) 수강생 박어진(필명)님이 한겨레 신문에 <오, 마...
강연을 해주신 오건호 선생님이 강의 도입부에 질문 하나를 던지셨다. ‘우리가 환갑의 나이가 될 때 즈음에는 한국이 복지 국가가 되어 있을까’라는 질...
[혁명과 헌법의 인문학] 강좌 세번째 강의에서 최갑수 선생님이 아이티 혁명의 위대함에 대해서 잠깐 언급하셨는데, 관련해서 참고가 되실 수 있는 글...
안녕하세요. 김민수 간삽니다. 날씨가 많이 쌀쌀해 졌습니다. ㅠㅡㅠ 잘 지내시지요? 지난 주까지 그리스 비극을 함께 봤습니다. 이번 주 부터는 셰익...
복지가 화두다. 6.2지방선거에서 ‘무상급식’이 아젠다로 떠올랐다. 온 나라가 정의, 공정사회 타령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회양극화가 심...
10월 7일 개강한 [자녀와 부모가 함께 행복해지는 길] 강좌가 이제 중반을 넘어가고 있습니다. 내일(11/4)은 "공부, 얼마만큼 잘 해야 할까" 라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