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민의 눈으로 과학기술을 보다 2강 예술가란 어떤 존재일까요? 안일하고 지적인 사고를 하는 일에 게으른 인류가 다른 질문과는 달리 이 질문에는 말...
역사를 연구하고, 가르치며, 또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역사학이란 단순히 과거의 사실 조각들을 수집하며 꿰맞추는 지적 퍼즐 놀이에 지나지 않은...
경제의 근본을 찾아서 강의자/성공회대 김찬호 교수 어느덧 세 번째 강좌가 열렸습니다. 이번 시간은 첫 번째 강좌를 맡았던 김찬호 교수가 비 경제학...
<일찍 출발 준비, 그러나> 5시 20분쯤 회사를 나가서 저녁을 먹었다. 물론 공식적으로는 근무시간이다. 5시 55분쯤 회사를 출발하여 6시2분에 분당선 ...
3월 8일부터 김동춘 선생님의 <되살아나는 과거, 대한민국의 역주행>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용산참사나 기무사의 민간인사찰 논란처럼 M...
<역사드라마, 사료로 다시보기> - 제 2강 : 한국 최초의 여왕으로 등극한 선덕여왕 강연자 : 전덕재 / 경주대 문화재학부 교수 들어가며 시대를 구분하...
<삶의 주인이 되는 돈의 인문학> - 제 2강 화폐의 역사적 기원에 대하여 강연자: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경제학자들이 가르치는 화폐의 ...
블로그(blog.yes24.com/kgs95)에 올린 후기를 여기에 다시 올립니다^^ ------------------------ <지각, 하지만 즐거운 책읽는 시간> 저번 주 수요일...
삼월의 바람 속에 시작된 돈의 인문학 강좌 지난 3월 9일 봄을 기다리는 비가 조금씩 내리던 날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서 <돈의 인문학> 첫 번째 강의...
우희종 교수의 '광우병과 신종플루가 보내는 경고' 후기 한광희 장래희망은 과학자입니다! 초등학생 시절 신상조사는 매 학년 의례처럼 이뤄졌다. 설문...
요즘 한창 합기도에서 배운 하이킥에 꽃힌 느티나무 자원활동가 박현아님이 작성한 <시사평론가 김종배의 글쓰기 교실> 후기입니다. 글쓰기 교실은 올 ...
류은숙의 [인권을 외치다] 엄윤섭 동년배의 여성 인권운동가 류은숙과의 첫 만남은 약간은 필연, 숙명이라고나 할까. 지난 고전강좌 이후 우쿨레레 강...
몇 달 전부터 마음과 몸에 대한 관심이 있어 "몸,인문학의 창으로 바라보다" 강의도 수강하게 되었고, "표현예술로 만나는 몸"도 체험하게 되었습니다....
11월 23일, 한국은 유엔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위원회로부터 30개에 이르는 사회권 침해에 대한 권고를 받았습니다. 이미 2001년에 받은 11개 사항 중 ...
오늘은 강연풀이에 앞서 몇 가지 재미난 질문으로 시작해볼까 합니다. 이 질문에 답하기 전 염두에 둘 부분이 있습니다. 뭐냐면, 이 대답은 어린 시절...
지난 11월 16일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 노회찬 대표가 오셨습니다.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는주제로 지난 9월부...
참여사회연구소가 지난 10월부터 시작한 ‘참여사회포럼: 대화’(이하 ‘대화’)의 두 번째 모임이 11월 20일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서 열렸다. 이 날은 제...
지난 11월 24일 화요일 소열심리상담센터에서 이정명 선생님과 함께 "몸 워크숍"이 진행되었습니다. 화요인문학교 <몸, 인문학의 창으로 바라보다>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