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과 헌법의 인문학] 강좌 세번째 강의에서 최갑수 선생님이 아이티 혁명의 위대함에 대해서 잠깐 언급하셨는데, 관련해서 참고가 되실 수 있는 글...
강연을 해주신 오건호 선생님이 강의 도입부에 질문 하나를 던지셨다. ‘우리가 환갑의 나이가 될 때 즈음에는 한국이 복지 국가가 되어 있을까’라는 질...
안녕하세요. 참여연대 아카데미 김민수 간삽니다. ^^ 이번 2010년 가을학기 우쿨렐레 강좌 최연로(?) 수강생 박어진(필명)님이 한겨레 신문에 <오, 마...
1977년 처음으로 500인 이상을 고용하는 대기업에서 먼저 실시되었던 의료보험제도는 전체 인구의 고작 8.6%만 혜택을 받았다. 병원 한 번 가려면 대기...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2010년 여름강좌로 진행된 <김수행 교수와 함께하는 국부론 읽기> 강좌가 온라인 강좌로 서비스 됩니다. 정말 애덤 스미스...
3월 14일부터 [복지국가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복지국가에 대한 막연한 오해나 두려움을 넘어, 복지국가를 ...
[성찰과 치유를 위한 꿈작업] 강좌가 20명 정원을 꽉 채워 개강했습니다. 꿈작업 강좌에 많은 관심을 보여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꿈작업을 진행해 주시...
[복지국가에 대한 오해와 진실]강좌의 두번째 강의가 3월 31일(월)에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김연명 선생님의 강의로 진행되었습니다. 선생님의 열정...
4월 5일(화)부터 중동 민주화 혁명의 오늘과 내일이라는 제목으로 최근 중동 민주화 혁명과 관련한 강좌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번 강좌와 관련해서 ...
[강좌후기]중동 북아프리카의 현실과 재스민 혁명의 의미 중동 북아프리카 민주화 혁명의 오늘과 내일 참여연대는 4월 한 달 동안 중동 북아프리카 지...
[강좌후기] 중동 북아프리카 현대사의 두 개의 키워드 - 석유와 미국 중동 북아프리카 민주화 혁명의 오늘과 내일 4월 12일, ‘중동 북아프리카 민주화...
강의중에 언급되었던 여러 책이 있었습니다. 나중에라도 읽고 싶은 분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목록의 정리와 아래 글은 수강생 가운데 한분이 ...
[강좌후기] 민주화 혁명 이후 중동 북아프리카는 어디로? [강좌후기] 민주화 혁명 이후 중동 북아프리카는 어디로? 중동 북아프리카 민주화 혁명의 오...
[강좌후기] 중동 북아프리카 혁명과 한국사회 아시아 강좌 : 2011/05/10 11:49 [강좌후기] 중동 북아프리카 혁명과 한국사회 중동 북아프리카 민주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