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강의 첫 시간, 김정인 교수님께서는 ‘독립운동’이라는 하나의 주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하나하나 분석해 주셨습니다. 자치의 공간, 여러 주...
2015년 겨울, 한애규 선생님 전시회에 갔었다. 어느 날 물 앞에 섰던 내 그림자를 그대로 떠온 듯한 '푸른그림자'시리즈 그리고 아련하게 아파...
혁명으로 평가되지 못한 혁명, 미국 혁명 미국 혁명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저는 처음 미국혁명을 들었을 때 잘 어울리지 않는 단어들의 조...
지금으로부터 그리 멀지않은 30년 전 6월. 한국에서는 군부권위주의정권에 대한 항쟁이 벌어졌었습니다. 빠른 속도로 올라가는 경제 지수와 달리 하나...
4.19 혁명 총을 쏘면 더 많은 사람들이 광장으로 쏟아져 나왔다. 19세기부터 민주주의의 가치와 신념이 내면화되있었기에 목숨을 바치면서까지 희생이 ...
압제자를 끌어내린 혁명에서 배우자 1강 - 최갑수교수님 프랑스 혁명 : 1789-1799 혁명의 진화 : 정치혁명에서 사회혁명으로! 1.혁명이란? revoluti...
[한국 근현대의 시간, 공간, 사람] 2강 한국인의 시간 ; 새로운 역사 – 평범한 사람들의 작은 역사 후...
[한국 근현대의 시간, 공간, 사람] 4강 한국인의 몸과 마음 ; 새로운 역사 – 평범한 사람들의 작은 역사...
4강 [아는만큼 실천할] 성평등한 사회를 꿈꾸는 이야기 -양성평등이 불가능한 진짜 이유 이번 시간 우리는 한국 사회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중심질서 ...
1. 들어가며 11월 3일은 1929년 광주학생의거를 기념하여 제정된 학생의 날입니다. 그리고 비록 군사정권의 연장으로 끝나기는 했지만 전두환 정권의 ...
1. 힌두교 - 삶의 방식 힌두교는 종교라기보다 사회, 문화적 현상이나 '삶의 한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힌두교는 창시자나 예언자가 없고, 정확한...
인도는 '인더스 저편의 땅'이라는 뜻으로 인더스 강 서쪽에 자리한 서양이 바라본 대상이자, 타자의 시선이 만든 상상의 나라였다. 그리스인이 처음으...
시공간. 말의 순서에서도 그렇지만 역사는 기본적으로 인간이 걸어온 여정과 흐름, 즉 시간에 더 많은 관심을 지니는 학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유구...
<젠더와 민주주의> -차별과 혐오는 어떻게 질서와 진리가 되었나? 성경에서의 동성섹스 창세기 오난, 형이 죽게 되자, 형의 부인과 섹스를 해야 했다. ...
저번 강의에서 우리는 ‘나는 여자/남자입니다.’ ‘너는 여자/남자이다.’ 라는 확신을 향해 의문을 가져보고 그 답변에 대한 사...
<아시아학교, 인도의 과거, 인도의 오늘> 1강 후기 : 11월 9일 저녁 7시, 아시아학교 첫 수업이 있었습니다. 현재 인도문화연구원장으로 활동하고 계시...
강의 자료로 준비해주신 프린트에는 낯선 질문이 있었습니다. 1) 나의 성별은 _____ 2) 그 근거를 세 가지만 찾는다면? 잠시 생각해보셨나요. 이 글을...
작은 역사, 평범한 역사, 평범한 사람들의 역사를 기억할 수 있는가가 이번 첫 강의 제목이였다. 그에 관한 이야기를 위해 맨 처음으로 우리에게 던져...
정치철학으로 고대 그리스 비극 읽기 마지막 시간(11월 2일)엔 <아가멤논>에 이어서 아이스퀼로스의 오레스테이아 3부작의 나머지 두 작품을 읽었습니...
세그룹으로 나누어 헌법이 개정된다면 어떤 것을 바꾸고 싶은지, 어떤 것을 새로 만들고 싶은지, 그걸 위해서는 어떤 행동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