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아카데미느티나무 6월 월례특강 후기 (윤채영) 요즘 한국은 ‘여성 혐오 범죄’와 ‘성폭력’ 문제로 시끄럽습니다. 사람들은 &l...
* <삶을 예술로, 삶을 축제로> 주제로 진행한 리추얼워크숍을 마치며 참여자들이 짧게 적어본 소감문을 나눕니다. - 내가 경험한 리추얼 워크숍은 있는...
5월 10일 제 5강에서 '열녀, 죽임인가? 죽음인가?'라는 주제로 쟁점토론을 진행한 데 이어서, 17일에는 제 6강 '근대 여성의 아이덴티티: 현모양처론...
한국 자본주의, 왜 분노해야 하는가-장하성(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아래에서 사용되는 그래프와 이미지는 인터넷을 통해 비슷한 그래프를 제가 찾아본...
지난 5월 6일 <우리 역사 속 여성사 기행> 4번째 강의가 있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조선시대 여성들이 살아간 모습을 다루었습니다. 먼저 같은 조...
3강은 ‘어느 고려부인의 일생: 시집가지 않는 여자’를 주제로 이루어졌다. 고려시대의 성과 여성의 삶에 대하여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고려시대...
지난 4월 12일 '왜 신라에만 여왕이 있었을까?: 여왕 통치의 성공과 실패'를 주제로 한 2강이 열렸습니다. ‘원시시대부터 신라의 여왕들’까지의 시기...
뒤집어 보는 종교 전쟁 평화, 첫 강좌는 조용한 질문과 함께 시작하였다. 전쟁의 종교인가? 평화의 종교인가? 올바른 – 그리고 요구되는 - 정답은 아마...
1. 대중음악의견가이신 서정민갑 선생님의 특강으로 강의가 시작되었다. 선생님께서 우리게에 '음악이 무엇인가?'라고 질문을 던졌다. 음악은 무엇일...
4월 5일 화요일에 주진오 선생님의 <우리 역사 속 여성사 기행> 첫 강의가 있었습니다. 먼저 단체 OX퀴즈 형식으로 이 강좌에 참여하는 분들이 서로 알...
<선거제도와 정당> 3/31일 목요일은 김만권 선생님의 "시민정치와 정당정치가 함께하는 민주주의 새로 짓기" 의 세번째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
<우리 정치는 무엇을 잃어버렸나> 김만권 선생님의 "시민정치와 정당청치가 함께하는 민주주의 새로 짓기" 두번째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이 강의에서...
시민이 짓는 새로운 민주주의라는 전망 2016.03.17 (목) 김만권 선생님 2014년 4월 17일에 열려고 했던 강의. 그러나, 바로 전 날 세월호 사건이 터져 ...
‘정치는 공학이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여러 정치현상에 대해 컴퓨터나 여론조사 등의 계량적·통계적 방법을 사용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신년 북 토크 "우리는 왜" 제 3강 <대한민국은 왜?> - 김동춘. 2016년 2월 18일 목요일, 오후 7시~9시 한국 사람들은 왜 이렇게 불행한가? 그 원...
신년 북 토크 "우리는 왜" 제 2강 <인권 오디세이> - 조효제. 2016년 2월 11일 목요일, 오후 7시~9시 1. 서론 상대방의 세계관이나 사상, 관심사...
신년 북 토크 "우리는 왜" 제 1강 <공부중독> - 엄기호. 2016년 2월 4일 목요일, 오후 7시~9시 1부 : 강의 1. 서론 1) 교육의 양극화 현상 : 이제는...
콜린 크라우치의 '포스트 민주주의'를 함께 공부하는 김만권 선생님의 독서클럽. 그 두 번째 강의에서는 민주주의를 사실상 장악하고 있는 수퍼리치/초...
콜린 크라우치의 '포스트 민주주의'를 함께 공부하는 김만권 선생님의 독서클럽 겨울학기 강의가 시작되었습니다. 매서운 추위에도 불구하고 수 많은 ...
안창호는 이름은 무수히 들어왔으나, 아는 바는 기실 없는 인물이다. 내가 안창호에 대해 떠오르는 것이라고는 연관검색어 마냥 늘 따라붙는 '도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