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나만의 선을 찾아가는 시간 ⓒ참여연대> 그러니까 이 수업, “인체드로잉”에 참여하고자 작정했던 이유가 있었을 터인데, 그것부터 시작 하려고 했는데...
애덤스미스의 생애와 주요 저작의 간략한 소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첫 번째 시간에 이어 이번 시간에는 첫 번째 시간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주요 ...
한국의 교육 난맥상에 대한 백가쟁명식 논의는 더 이상 새삼스러운 것이 아닙니다. 모든 사람들의 이해와 관점이 얽혀 있고,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나...
아카데미느티나무 10주년 기획 - 시민교육 현장의 소리 5친구와 스승을 만나는 느티나무 글. 주은경 아카데미느티나무 원장 봄 학기 <한국 노인돌봄 정...
아카데미느티나무 10주년 기획 - 시민교육 현장의 소리 4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배움 - 지성·감성·영성의 통합 글. 주은경 아카데미느티나무 원장 ...
왜 역사를 공부하는 가라는 질문에 대해 아리스트텔레스는 “무언가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그것의 기원과 발전과정을 살펴보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경...
- 낮설음 그리고 설레임이 공존했던 6주는 적당한 속도로 흘러갔다. 다시 시작한 서울살이 5년만에 참여연대 아카데미에 문을 두드렸다. 카페통인에서...
지난 1월 마음의 준비도 없이 시어머님이 돌아가시고, 역시 마음의 준비 없이 홀로 남아 힘들어하시는 아버님을 보면서 전에는 해보지 못한 노년과 질...
건물주의 갑질과 세입자의 권리, 동성애 혐오, 난민의 인권 등 요즘 세상을 떠들썩하게 채우는 뉴스들입니다. 이런 권리의 충돌을 현명하게해결하는 ...
<들어가며> 장면 발표가 끝났다. 한 학기 수업이 아름다운 계절의 바람 속에서 모두의 웃음과 누군가의 눈물과 약간의 울컥함 속에서 막을 내렸다. 올...
첫 수강 신청은 너무나 충동적이었다. 평소 팔로잉하고 있던 박 기자님의 페북글을 보고 링크를 타고 넙죽 신청을 진행했다. 정작 입금 날이 다가오자...
느티나무 독서서클 땡땡은 페미니즘, 민주주의, 에로스라는 주제를 가지고 11명의 참여자들이 자발적으로 꾸려가는 독서모임이다. 첫 번 째 모임은 참...
5월 4일 양평에서 열리는 '2019 발달장애 작가들의 폐공장 전시'에 도시의 노마드가 초대받았다. 오후 1시부터 시작되는 전시 행사를 여는 공연을 하기...
검찰을 포함한 사법기관 개혁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많이 높아졌습니다. 마침, 이와 관련된 몇 개의 법안이 국회의 패스트트랙에 올라 가면서, 국회 ...
글을 쓰고 싶었다. 하루에도 수십 장씩 작성하고 읽어 내려가는 보고서가 아니다. 뻔한 주제로 결말을 짓는 사업 홍보물도 아니다. 진짜 내가 하고 싶...
<대수롭지 않았던 것이 사실은 아주 중요한 것일 수도 있다.> 와하학교에서 연령, 성별, 사회적 지위와 상관없이 우리는 서로를 서로가 불리고 싶은 ...
<쉬는시간에도 쉬지않고 자료를 들여다보았던 학구열 넘쳤던 재벌경제 강좌 ⓒ참여연대> “조양호 회장의 대한항공 연임 실패”, “삼성바이오로직스 분...
세월호 5주기를 앞두고 있었다. 금요일 밤 준비된 간식들에서 누군가 가져온 제주도 무와 약과..... 그 속에 잔잔한 마음들이 있었다. 강휴, 이선 선생...
2017년 정권교체 이후 한반도를 둘러 싼 국제 정세의 많은 변화가 있었고, 현재까지 진행중입니다. '햇볕정책'으로 명칭되는 것처럼, 북한과의 적극적...
아카데미느티나무 10주년 기획 - 시민교육 현장의 소리 3 수강생에서 강사로 함께 만드는 ‘배움의 공동체’ 글. 주은경 아카데미느티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