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아카데미느티나무 10주년 기획 - 시민교육 현장의 소리 2 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기면 ‘백결선생’ 글. 주은경 아카데미느티나무 ...
아카데미느티나무 10주년 기획 - 시민교육 현장의 소리 1 호모아줌마데스는 느티나무지기 글. 주은경 참여연대 아카데미느티나무 원장 "호모아줌마데스...
<'한국 남자는 왜 억울해 하는가'를 주제로 강연 중인 최태섭 문화평론가 ⓒ참여연대> '페미니즘, 한국 남자를 말하다' 첫 번째 강의로 문화평론가이자...
1. <페미니즘, 한국 남자를 말하다> 강연 참가 후기 참여연대에서 진행한 <페미니즘, 한국 남자를 말하다> 수업을 듣고 왔다. 최태섭과 손희정...
<'페미니즘, 그 이로움에 대하여'를 주제로 강연 중인 손희정 문화평론가 ⓒ참여연대> 어제,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요즘 최대 ...
<삶의 절반이 지나고 있다는 생각이 들 무렵, 막연한 희망으로만 있던 그림그리기를 시작했다 ⓒ 참여연대> 본격적인 한파가 시작되던 12월의 첫째 토...
사법농단 vs 사법개혁 민주적 사법을 위한 개혁을 꿈꾸다 오늘 모임에서는 사법계의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기 위해 전문가(한상희 건국대 법학...
<그림 하나하나에 이야기가 얹어지면, 그림에 대한 애정이 샘솟는다 ⓒ참여연대> 지난 학기 미술학교 풍경페인팅 뒤풀이 자리였을 것이다. 선생님께서 ...
처음엔 먼저 테라코타를 접한 선배(?) 수강생들의 열화와 같은 강력한 추천으로 만나게 되었다. 인간은 흙에서 왔고 다시 흙으로 돌아간다고 하였...
<정형화된 틀안에서 더 높은 자유를 누린다 ⓒ 참여연대> 당신의 열정이 당신의 결정 이 한마디를 내뱉으며 [삶을 뱉는 랩 교실]이 시작됐다. ‘...
<고치고 또 고치고, 비트에 맞추어 가사를 쓴다 ⓒ참여연대> 안녕하세요 삶을 뱉는 랩 교실 수강생 이현민입니다. 저는 이번 강좌에 가장 마지막으로 ...
생소한 개념으로 가득차 있어 읽고 이해하기가 결코 쉽지는 않지만 김만권 선생님의 열정 넘치는 강의와 수강생들의 향학열이 어우러져 겨울밤을 빛내...
이제는 말할 수 있는 북한 역사의 비밀 세번째 강의 - 북한 경제구조의 기원 - '자력갱생’ 경제의 형성 #1. 들어가기에 앞서 이번 강좌를 ...
첫시간의 후기에도 드러나있듯 난해한 글을 더욱 미로로 빠지게 하는 번역 때문에 다가가기 어려운 한나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의 주요 부분을 정리...
‘내 생애 첫 사법감시’라니! 처음엔 타이틀이 그렇게 부담스러울 수가 없었다. 학부 때 산 법전은 몇 년 간 눈이 닿지 않는 책장 아래칸...
<알쓸신집> 강의진행기 우리 더불어 숲이 되어 지키자 세입자에게 무엇이 가장 필요할까? 주거권을 보장하라!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라! 전월세...
<깨알진행은 기술이기 보다는 태도가 아닐까 생각했다 ⓒ 참여연대> 와하 가을 학기가 빠르게 지나갔습니다. 6주 만에 "회의 참여자들 모두가 만족하는...
북한무력의 기원 -조선인민군 창설 1945년 8월에 한국인들은 식민지 상태에서 해방되었다. 하지만 한반도에는 미군과 소련군이 각각 38도선을 기준으...
우리의 몸과 일상의 도구로 함께 소리내며 자신을 표현하는 시간. 우리가 내는 소리가 변화의 봄바람을 만들어 가길 기원하며 세월호 4주기 광화문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