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강 [아는만큼 실천할] 성평등한 사회를 꿈꾸는 이야기 -양성평등이 불가능한 진짜 이유 이번 시간 우리는 한국 사회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중심질서 ...
1. 들어가며 11월 3일은 1929년 광주학생의거를 기념하여 제정된 학생의 날입니다. 그리고 비록 군사정권의 연장으로 끝나기는 했지만 전두환 정권의 ...
1. 힌두교 - 삶의 방식 힌두교는 종교라기보다 사회, 문화적 현상이나 '삶의 한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힌두교는 창시자나 예언자가 없고, 정확한...
인도는 '인더스 저편의 땅'이라는 뜻으로 인더스 강 서쪽에 자리한 서양이 바라본 대상이자, 타자의 시선이 만든 상상의 나라였다. 그리스인이 처음으...
시공간. 말의 순서에서도 그렇지만 역사는 기본적으로 인간이 걸어온 여정과 흐름, 즉 시간에 더 많은 관심을 지니는 학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유구...
<젠더와 민주주의> -차별과 혐오는 어떻게 질서와 진리가 되었나? 성경에서의 동성섹스 창세기 오난, 형이 죽게 되자, 형의 부인과 섹스를 해야 했다. ...
저번 강의에서 우리는 ‘나는 여자/남자입니다.’ ‘너는 여자/남자이다.’ 라는 확신을 향해 의문을 가져보고 그 답변에 대한 사...
<아시아학교, 인도의 과거, 인도의 오늘> 1강 후기 : 11월 9일 저녁 7시, 아시아학교 첫 수업이 있었습니다. 현재 인도문화연구원장으로 활동하고 계시...
강의 자료로 준비해주신 프린트에는 낯선 질문이 있었습니다. 1) 나의 성별은 _____ 2) 그 근거를 세 가지만 찾는다면? 잠시 생각해보셨나요. 이 글을...
작은 역사, 평범한 역사, 평범한 사람들의 역사를 기억할 수 있는가가 이번 첫 강의 제목이였다. 그에 관한 이야기를 위해 맨 처음으로 우리에게 던져...
정치철학으로 고대 그리스 비극 읽기 마지막 시간(11월 2일)엔 <아가멤논>에 이어서 아이스퀼로스의 오레스테이아 3부작의 나머지 두 작품을 읽었습니...
세그룹으로 나누어 헌법이 개정된다면 어떤 것을 바꾸고 싶은지, 어떤 것을 새로 만들고 싶은지, 그걸 위해서는 어떤 행동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그룹...
전날(10월 25일) 보도된 국정농단 파문으로 모두가 놀란 가슴을 부여잡고(...) 모인 여섯 번째 시간(10월 26일) 강의에서 읽은 작품은 <아가멤논>입니...
그동안 우리는 헌법 내용을 중심으로 한 수업들을 통해 한국 사회의 감춰져 왔던 가능성과 변화를 상상하기 위한 근거들을 배워 왔습니다. 이번 수업에...
10월 20일 저녁 7시부터 2시간여동안 진행된 참여연대 아카데미 2016 가을학기 월례특강 후기입니다. 1. 들어가며 밥벌이의 괴로움을 실감하여 하루하...
2016년 10월 18일, <기본소득 시대를 상상하다>를 주제로 녹색당 전 공동운영위원장이자 <나는 국가로부터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 저자인 하승수 선생...
10월 19일 김만권 선생님의 강의에서는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가 주제였습니다. 에우리피데스는 다른 극작가들과 달리 비극의 3요소라고 할 수 있...
10/17 5강 [복지국가와 사회권] 한상희 교수 2차 세계대전 이후 인권의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되었는데 이는 사회권 인식의 시작이었다. 기본적으로 개...
2016년 10월 11일, <4차 산업 혁명이 불러올 우리의 미래>를 주제로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홍기빈 소장의 강의가 있었습니다. ‘후천개벽의 변화가 올 ...
네 번째 강의 시간(10월 12일) 읽은 그리스 비극은 <안티고네>입니다. 세 번째 시간에 다룬 <오이디푸스 왕>을 쓴 소포클레스의 또다른 대표작으로,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