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번달 공부모임 주제는 “소득주도 성장에 대하여”였다. 저번 달에 현장에서 바로 나온 ‘우리가 알아보고 싶은 한국사회’의 ...
<책상없이 나를 드러내야 했던 당황 그리고 기대가 교차했던 순간 ⓒ참여연대> 스킬이 아닌 사람을 알아갔던 시간들 짧은 시간이었지만, 많은 것을 배...
<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 잘하지 않아도 된다, 능숙하지 않아도 된다, 유쾌하지 않아도 된다.' ⓒ참여연대 > 당황과 부담스러움이 유쾌함과 ...
오늘날 ‘공공임대주택’의 이미지는 부정적입니다. 편의시설을 분양아파트 입주자만 이용하고 임대아파트에 사는 주민들은 사용할 수 없도...
<성우로 활동 중인 이용신님. 가수로도 활동할 당시 발매한 음반을 참가자 한분 한분에게 선물해주셨어요. ⓒ 참여연대> 아카데미느티나무에서는 지난 ...
<흑백으로 찍으니 좀 더 멋있어 보였다. ⓒ 이용신> 아카데미느티나무에서는 지난 9월 3일부터 10월15일까지 <시민칼럼니스트되기 - 박상규 기자의 죽...
아카데미느티나무에서는 지난 9월 3일부터 10월15일까지 <시민칼럼니스트되기 - 박상규 기자의 죽이는 글쓰기, 죽여주는이야기>를 진행했습니다. 매주...
서울에 올라오기 전이나 이후에 겪는 첫 난관은 집을 얻는 것입니다. 10번 가까이 이사를 하든, 한 곳에서 오랫동안 살든 계약을 맺어야 하죠. 설령 집...
모두를 위한 주거권인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주거권은 사람답게 살만한 집에 살 권리(적정 주거의 권리)입니다. 축소해서 보는 경향이 있지만, 누구나 ...
한국의 촛불시민혁명과 사회운동 및 민주주의의 방향성 “이기적인 개인이 이타적인 개인을 이기는 반면, 이타주의자의 집단은 이기주의자의 집단...
페미니즘: 왜 여성들은 ‘지금’ 분노하는가? (이나영 교수님) 2강 “조선 남성 심리는 이상하외다. 자기는 정조관념이 없으면서 처에...
젠더는 언제나 나를 사로잡는 단어였다. 최근 한국사회에서도 페미니즘운동이 거세지면서 젠더에서 페미니즘으로 관심을 넓혀가고 있었다. 그러는 와중...
‘북한’에 대한 잘못되거나 왜곡된 이미지가 많습니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북한 내 자본주의는 어떤 관계로 있었을까요? 박노자 선생님의 두 번째 ...
노르웨이의 오슬로 대학의 박노자 교수님께서 ‘세계 속의 North Korea’ 라는 2부로 된 특강을 진행해주셨습니다. 올해 북한의 적극적인 외교 활동...
헌법과 권력구조 6월 19일, 6주 간 진행된 김만권의 정치철학 마지막 강의가 있었습니다! 6강에서는 ‘헌법과 권력구조’라는 주제로 강의가...
김만권 정치철학 <5강 헌법과 젠더> 이번 5강에서는 젠더와 관련해 헌법을 설명하셨다. 0. 2물결 페미니즘과 분배, 인정의 영역 1세대 페미니즘은 투표...
김만권의 정치철학 4강 ‘기본권으로서 노동 그리고 분배’ 이번 강의의 주제는 ‘기본권으로서 노동 그리고 분배’였습니다. 본...
3강에서는 헌법 제정의 의미를 알아보고 대통령 발의안에 새로 추가된 기본법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본격적인 수업에 들어가기 전, 김만권 선생...
5월 15일 진행된 김만권 선생님의 두 번째 강의는 ‘시민불복종, 혁명과 헌법‘을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지난 강의에 이어 기억을 제도화...
우리의 몸과 일상의 도구로 함께 소리내며 자신을 표현하는 시간. 우리가 내는 소리가 변화의 봄바람을 만들어 가길 기원하며 세월호 4주기 광화문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