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7월 8일부터 여름학기 강좌로[근대한국인의 "바깥세상 보기"]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근대 한반도인들의 러시아, 중국, 유럽 소국관에 관...
강연을 해주신 오건호 선생님이 강의 도입부에 질문 하나를 던지셨다. ‘우리가 환갑의 나이가 될 때 즈음에는 한국이 복지 국가가 되어 있을까’라는 질...
6.2지방선거를 통해 복지는 정치적 화두로 떠올랐고, 그 이후 복지국가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민주주의와 진보, 한...
8월 30일부터 가을학기 강좌 [집의 인문학 : 아파트 공화국에서 다시 집을 생각한다]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단순히 자산증식의 수단으로...
[한국전쟁 60년 기념강좌 3강 - 한국전쟁, 그리고 사람들] 이번 강의를 듣기 전에 가장 궁금했던 것은 “김귀옥 교수님은 한국전쟁의 어떤 부분에 주목...
[강좌후기] 중동 북아프리카 혁명과 한국사회 아시아 강좌 : 2011/05/10 11:49 [강좌후기] 중동 북아프리카 혁명과 한국사회 중동 북아프리카 민주화 ...
[정의의 계보학] 1강(6/20), 정의는 정의로운가? 강좌소개 >> 클릭 참여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무더운 여름날 느티나무에서 함께 공부하게 되어 반갑습...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와 프레시안은 9.11 10년을 맞아 9월 5일부터 매주 월요일 5회에 걸쳐 '9.11 이후 10년, 세계는 어디로 가는가'를 주제로 ...
‘노래=음악’인 걸까요? 물론 노래는 음악의 속성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그 가사 덕에 문학일 수도 있죠. <서울, 도시와 공간의 인문학> 일...
7월 5일부터 여름학기 강좌로 [정태인의 착한 경제학]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인간의 본성과 인간 개개인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연...
[강좌후기] 민주화 혁명 이후 중동 북아프리카는 어디로? [강좌후기] 민주화 혁명 이후 중동 북아프리카는 어디로? 중동 북아프리카 민주화 혁명의 오...
4강 - 김동춘 교수<한국전쟁 60년, 한반도와 세계>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했던가. 한국의 냉전적 사고, ‘좌파&...
[정의의 계보학] 2강(6.27), 정의와 힘 강좌소개 >> 클릭 1강 후기 보기 >> 클릭 참여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두 번째 시간은 어떠셨는지요? 이번시간에...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는 9월 8일부터 5회에 걸쳐 '한국 ODA의 길을 묻는다' 시민강좌를 진행합니다. 네번째 강연 '분쟁국 원조와 원조의 군사화, 새...
맥주에 관한 강좌가 있다는 것을 알았을때부터 찜 해두었었습니다. "그래! 나를 위한 강좌야!" 백경학 이사님의 첫강의에서 많은 것을 듣고 배웠습니다...
3월 14일부터 [복지국가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복지국가에 대한 막연한 오해나 두려움을 넘어, 복지국가를 ...
[고전으로 이해하는 정치사상-근대편] 5강(12/09) 계몽이란 무엇인가? 칸트, 푸코 강의소개 보기 >> 클릭 1강 후기 보기 >> 클릭 2강 후기 보기 >> 클...
세 여자가 있다. 나이는 40대에서 60대 초반까지다. 우리나라에선 한참 아이들을 키우거나 맞벌이를 하며 몸과 마음이 지쳐있을 때쯤이다. 하지만 이 ...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는 9월 8일부터 5회에 걸쳐 '한국 ODA의 길을 묻는다' 시민강좌를 진행합니다. 마지막 강연 '여성, 개발현장에서 소외되다'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