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2010년 여름강좌로 진행된 <김수행 교수와 함께하는 국부론 읽기> 강좌가 온라인 강좌로 서비스 됩니다. 정말 애덤 스미스...
수요고전세미나 '민주주의 관점으로 보는 영미문학' 강의안입니다. 4강 자료는 없습니다.
상반기 화요인문학교 '뒤집어보는 종교, 전쟁, 평화'의 9강까지의 자료입니다.
태조 이성계를 시작으로 마지막 왕인 27대 순종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성군이라 칭하는 왕중에서 빠지지 않는 왕이 바로 22대 정조일 것 입니다. 그...
역사를 연구하고, 가르치며, 또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역사학이란 단순히 과거의 사실 조각들을 수집하며 꿰맞추는 지적 퍼즐 놀이에 지나지 않은...
들어가며 제 4강의 드라마는 얼마전 막을 내린 드라마 '추노' 입니다. 도망간 노비를 붙잡는 추노꾼 이대길, 소현세자를 보필했던 장군 송태...
무엇이 삶의 가치를 드높이는가? 강의자/ 김찬호(성공회대 교양학부 교수) 1.반성과 성찰을 위한 돈의 인문학 우선 강의의 시작은 현재의 우리를 돌아...
경제의 근본을 찾아서 강의자/성공회대 김찬호 교수 어느덧 세 번째 강좌가 열렸습니다. 이번 시간은 첫 번째 강좌를 맡았던 김찬호 교수가 비 경제학...
3월 31일 저녁, <삶의 주인이 되는 돈의 인문학> 제 4강이 열렸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제윤경 대표님께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다양한 실제 사례를 ...
삼월의 바람 속에 시작된 돈의 인문학 강좌 지난 3월 9일 봄을 기다리는 비가 조금씩 내리던 날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서 <돈의 인문학> 첫 번째 강의...
<역사드라마, 사료로 다시보기> - 제 2강 : 한국 최초의 여왕으로 등극한 선덕여왕 강연자 : 전덕재 / 경주대 문화재학부 교수 들어가며 시대를 구분하...
이 글은 느티나무 자원활동가 박현아님이 보내주신 후기 입니다. 인생에서 철학이 절실했던 순간 내 나이 어느덧 30대 후반. 인생의 절반을 살아내면서...
엉기조차 벙기조차 엉기벙기 버벙기. 무슨 말인가 싶으시죠? 어릴 적 읽었던 전래 동화 속 주인공 이름입니다. 몇 명 자식을 낳았지만 모두 일찍 죽어...
어느덧 7강입니다. 남은 8강이 조별 시놉시스 발표라는 것을 감안하면, 사료를 토대로 기존 역사드라마를 재고찰하는 것은 마지막인 셈입니다. 매 강의...
5.18 기념식장에 방아타령이 연주된다. "5.18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대신 <방아타령> - 오마이뉴스" 천박함을 넘었다. 우습다. 광주 30년 무엇...
'내가 만들어 보는 사극 시놉시스 발표와 강평' 이라는 주제로 마지막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마지막 강의를 위해 5주차에 조편성을 하였고 ...
"이러다 전쟁나는거 아냐?" 지난 20일 국방부 민군합동조사단이 결정적 증거인 "1번"을 들이밀며 북한이 공격했다고 조사 결과를 발표한 날, 이곳 저곳...
선대인 "건설족 수괴가 청와대에...정치권력 바꿔 제대로 된 시장경제 해야" 조태근 기자 taegun@vop.co.kr 종합부동산세 폐지, 투기과열지구 해제, 재...
어릴때 소세지 도시락 반찬이 너무 부러워, 어머니께 조르면, ‘돈 없어 안돼’ 였다. - 경제적으로 어려웠다. ‘소세지반찬’과 ‘돈’이 어떤 관계인지 몰...
모두들 길게 쓰셔서 2쪽 분량입니다. 문장이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제가 이해한 수준에서 다듬었고, 알아보기 힘든 단어는 부득이 뺐습니다. 참고하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