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월 8일부터 김동춘 선생님의 <되살아나는 과거, 대한민국의 역주행>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용산참사나 기무사의 민간인사찰 논란처럼 M...
<일찍 출발 준비, 그러나> 5시 20분쯤 회사를 나가서 저녁을 먹었다. 물론 공식적으로는 근무시간이다. 5시 55분쯤 회사를 출발하여 6시2분에 분당선 ...
<시민의 눈으로 과학기술을 보다> 3강 후기입니다.강의 시간에 다루신 주제와 조금 다른 접근을 해봤습니다. 어디까지나 사견이니 강의 내용과 혼동 없...
안녕하세요. 참여연대 아카데미 김민수 간삽니다. ^^ 이번 2010년 가을학기 우쿨렐레 강좌 최연로(?) 수강생 박어진(필명)님이 한겨레 신문에 <오, 마...
블로그(blog.yes24.com/kgs95)에 올린 후기를 여기에 다시 올립니다^^ ------------------------ <지각, 하지만 즐거운 책읽는 시간> 저번 주 수요일...
어제(8일) 교과부에서 ‘중학교 새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을 발표했습니다. 논란이 되고 있는 "국사편찬위원회가 제시한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 ...
8월 30일부터 가을학기 강좌 [집의 인문학 : 아파트 공화국에서 다시 집을 생각한다]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단순히 자산증식의 수단으로...
<'마지막'이라는 단어> '마지막'이라는 단어는 힘이 세다! 마지막 순간, 마지막 회, 마지막 숨소리, 마지막 세일, 마지막 사랑, 마지막 수업... '마지...
v:* {behavior:url(#default#VML);} o:* {behavior:url(#default#VML);} w:* {behavior:url(#default#VML);} .shape {behavior:url(#default#VML);} 7...
4월 13일 [서울, 도시와 공간의 인문학] 강좌가 막을 올렸다. <서울은 깊다>의 저자이신 전우용 선생님이 1강과 2강의 강의를 맡아 열강해주셨다. 전우...
3월 14일부터 [복지국가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복지국가에 대한 막연한 오해나 두려움을 넘어, 복지국가를 ...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는 9월 8일부터 5회에 걸쳐 '한국 ODA의 길을 묻는다' 시민강좌를 진행합니다. 첫번째 강연 '국제사회가 말하는 ODA의 허와 실...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는 9월 8일부터 5회에 걸쳐 '한국 ODA의 길을 묻는다' 시민강좌를 진행합니다. 두번째 시간으로 '개발원조가 부른 환경파괴와 ...
강의중에 언급되었던 여러 책이 있었습니다. 나중에라도 읽고 싶은 분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목록의 정리와 아래 글은 수강생 가운데 한분이 ...
[성찰과 치유를 위한 꿈작업] 강좌가 20명 정원을 꽉 채워 개강했습니다. 꿈작업 강좌에 많은 관심을 보여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꿈작업을 진행해 주시...
[혁명과 헌법의 인문학] 강좌가 내일(11/2) 개강합니다. 강좌 개강에 앞서 강의를 진행해주시는 서울대 서양사학과 최갑수 선생님께서 아래의 책들을 ...
안녕하세요. 참여연대 김민수 간삽니다. ^^ 비극강좌 2강은 에스킬루스 오레스테이아 3부작 (아가멤논,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자비로운 여신들) 을 중...
오는 11월 13일은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고 외치며 자신의 몸에 스스로 불을 붙인 고 전태일 열사의 40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참여연대 노동사회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