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3년 11월 9일 토요일 오전10시, 인물과 사건으로 보는 한국근현대사Ⅱ (현대 정치의 뿌리를 찾아서 : 북촌 일원)을 답사했습니다. 서울에서 볼 수 있...
안녕하세요. 시작한지 얼마 안된거 같은데 벌써 강의가 중반부로 접어들었네요. 치열했던 독립투쟁을 거쳐 이제 해방후 한국의 모습을 살펴보고 있습니...
2013년 1월, 14명의 청소년을 만났다. 처음 만난 나이도 사는 지역도 관심사도 서로 다른 아이들의 서먹한 기운이 워크숍장을 맴돌았다. 조금씩 천천히...
“여러분, 서울 하면 떠오르는 작가가 있나요?” 오르한 파묵의 책으로 총 3강을 맡아주신 이난아 선생님의 마지막 강의였다. 이스탄불은 ...
5강 중남미 역사와 문화 마지막 시간이었습니다. 4강까지는 문학작품을 위주로 한 강의였다면 마지막 5강 강의는 중남미 역사와 문화를 쭉 훑는 시간...
[문학으로 읽는 이슬람 사회와 문화 6강] 참여연대 느티나무 아랍문학 마지막 강좌는 살와 바크르의 책 ‘황금마차는 하늘로 오르지 않는다&rsquo...
[김종철의 헌법을 통한 민주주의] 3강(5/21) - 대통령 5년 담임제가 문제인가? 강의소개 보기 >> 클릭 1강 후기 보기 >> 없음 2강 후기 보기 >> 없음 ...
[고전으로 이해하는 정치사상, 고대편] 5강(5/19), 칼리클레스 - 우월한 자가 권력을 차지하는 것이 정의롭다 강의소개 보기 >> 클릭 1강후기 보기 >> ...
다듬지 못하고 거칠게 정리했네요.
[김종철의 헌법을 통한 민주주의] 4강(5/28) - 헌법재판은 반민주적인가 강의소개 보기 >> 클릭 1강 후기 보기 >> 없음 2강 후기 보기 >> 없음 3강 후...
[후기] 빈곤퇴치 약속 20년, 왜 세계는 여전히 굶주리고 있는가 ‘Rio정상회의, 이면과 진실’의 마지막 강연은 이성훈 한국인권재단 상임이사와 2012년 ...
오르한 파묵을 다룬 세번째 수업이자, 이슬람 문학 수업의 4강은 오르한 파묵의 <이스탄불>을 다뤘다. <이스탄불>은 세계적 작가의 반열에 오른 터키...
[2013 가을학기 <세계 종교의 이해Ⅱ>강좌 정보] 1강 후기 보기 > 클릭 2강 후기 보기 > 클릭 3강 후기 보기 > 클릭 4강 후기 보기 > 클릭 5강 후기 보...
[고전으로 이해하는 정치사상, 고대편] 1강(4/14), 프롤로그. 왜 고대의 고전을 읽는가 강의소개 보기 >> 클릭 지난 자유의 계보학 이후 두 달간 쉬고 ...
['재벌 공화국을 넘어' 강좌 ⑤] 토크쇼 '재벌 개혁과 경제 민주화, 2012년의 선택' "안철수 식 경제민주화, 사람 헷갈리게 해" : 정치권-시민사회 경제...
왜 브라질 리우를 주목해야하는가? 3월 15일 늦은 7시 이대훈 강사와 함께한 강의였다. 참여연대 ‘RIO정상회의, 이면과 진실’의 첫 강의 ‘왜 브라질 리...
[김종철의 헌법을 통한 민주주의] 5강(6/11) - 정당은 어떤 조건하에서 해산될 수 있는가 강의소개 보기 >> 클릭 1강 후기 보기 >> 없음 2강 후기 보기...
['재벌 공화국을 넘어' 강좌 ② : 이병천 강원대 교수] "안철수 할아버지가 집권해도 봉착할 문제는 바로…" 장흥배 참여연대 시민경제위 간사 "재벌 개...
[동아시아 근현대사 : 전쟁의 기억, 평화의 약속] 7강 (5/15) 제 1차 세계대전은 동아시아 각국의 운명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강의소개 보기 >> 클...
반란의소리 저항의노래 - 3강 한국의 저항가요, 독립군가에서 <헌법 제1조>까지 2004년의 늦은 봄, 교정 한 켠에 세워진, 선배열사의 기념비 앞에서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