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아카데미 수업을 수강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아는 사람은 다 아는 ''백결 선생''의 권유로 송년회에 참석했어요~ 1층 카페에서 테라코타 전시...
다음과 같은 첫 질문으로 두 번째 토크가 시작되었습니다. “연금은 예금인가? 아니면, 보험인가?” 국민연금에 대한 두 번째 토크 내용을 ...
강사 : 김동춘 / 성공회대 사회학과부 교수. ㆍ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지금의 노인들은 처참한 동족 상잔의 6.25 전쟁으로 인한 트라우마가 있으며, ...
강의 1부 1부에서는 김명환 교수님께서 앞으로 4개월 동안 진행 될 ‘혁명과 전쟁의 20세기 후반기 세계문학’ 강의 전반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를 해...
함께 해결해요 느티나무 10년의 질문글. 주은경 아카데미느티나무 원장 느티나무 그늘 아래 배우고 휴식하고 놀았던 10년의 시간. 수강자, 강사, 기획...
아카데미느티나무 10주년 기획 - 시민교육 현장의 소리 2 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기면 ‘백결선생’ 글. 주은경 아카데미느티나무 ...
5월 15일 진행된 김만권 선생님의 두 번째 강의는 ‘시민불복종, 혁명과 헌법‘을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지난 강의에 이어 기억을 제도화...
2012년 봄학기 나도 강사다#1 '어슬렁의 여행드로잉 이야기' 축하공연 영상입니다. 서울드로잉 1기 참여 이후 동유럽과 지중해 드로잉 여행을...
지난 1월 마음의 준비도 없이 시어머님이 돌아가시고, 역시 마음의 준비 없이 홀로 남아 힘들어하시는 아버님을 보면서 전에는 해보지 못한 노년과 질...
- 낮설음 그리고 설레임이 공존했던 6주는 적당한 속도로 흘러갔다. 다시 시작한 서울살이 5년만에 참여연대 아카데미에 문을 두드렸다. 카페통인에서...
작은 역사, 평범한 역사, 평범한 사람들의 역사를 기억할 수 있는가가 이번 첫 강의 제목이였다. 그에 관한 이야기를 위해 맨 처음으로 우리에게 던져...
자유인들에게 왜 연민과 공포가 ‘필요’했을까? 자유인들의 도시(국가). 그리스 아테네 하면 가장 떠오르는 말이다. 고대 아테네에서는 특정 전문가가 ...
사람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때 빛난다. 지난여름 어느 공연을 보며 든 생각이다. 내가 좋아하고, 사회에 유익한 일을 하며 반짝이는 삶을 살고 싶...
생활 속 춤추기를 실현하는 즐거운 일탈! 2014년 봄학기 시작된 '도시의 노마드 춤 워크숍' 강좌 진행 영상입니다.
지난 이명박 박근혜 정부 9년간 냉각되었던 남북관계가 문재인 정부 들어 개선되면서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이 연달아 개최되기도 했지만 지...
기본소득, 그리고 시간의 재분배와 젠더평등 <기본소득, 세상을 살릴 수 있나>의 마지막 강의에서는 기본소득과 젠더평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
오랜 가부장제 문화에서 여성은 독립된 주체가 아니라 남성의 공간, 소유물로 여겨졌습니다. 그 속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은 계속 이어졌고요. 그러나 ...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금민 소장님의 강좌 <기본소득, 세상을 살릴 수 있나> 두번째 시간의 주제는 ‘기본소득을 통한 생태적 전환’이었다. 강의 전반...
2017 가을 아카데미 느티나무 일시: 10월 17일 화요일 강의자: 한상희 교수(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현대 인권의 궁극목표는 평화권, 발전권, 민주...
자원봉사자 - 류태림 4차 산업혁명이오고 있다. 기계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인공지능이 발달하고 단순노동의 종말은 점점 다가오고 있다. 선대인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