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복지국가에 대한 오해와 진실]강좌의 두번째 강의가 3월 31일(월)에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김연명 선생님의 강의로 진행되었습니다. 선생님의 열정...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2010년 여름강좌로 진행된 <김수행 교수와 함께하는 국부론 읽기> 강좌가 온라인 강좌로 서비스 됩니다. 정말 애덤 스미스...
제목: 니체 <비극의 탄생>, 그리고 비극과 정치 -비극을 읽는다고 했을때 읽어야하는것 아리스토텔레스의<시학> 왜 희극과 비극이 필요했는지에 대한 ...
11월 23일, 한국은 유엔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위원회로부터 30개에 이르는 사회권 침해에 대한 권고를 받았습니다. 이미 2001년에 받은 11개 사항 중 ...
1. 한국 인도만 유일하게 할리우드 영화보다 자국영화 지분이 높다. 2. 부산행이 해외에서도 유행하는 것은 매우 인상 깊음, 불과 20년 전만해도 한국...
-모든 것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는 것에 대한 문제점 장향준 감독과 본인은 둘 다 수원대를 나왔음 뉴스 헤드라인 부동산정책과 같은 것이 사대문 밖의 ...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미술학교에서 그림을 배운 화우들로 구성된 그림자가 오는 7일까지 창성동 실험실에서 그림 전시회를 합니다.(관람 시간 ...
건물주의 갑질과 세입자의 권리, 동성애 혐오, 난민의 인권 등 요즘 세상을 떠들썩하게 채우는 뉴스들입니다. 이런 권리의 충돌을 현명하게해결하는 ...
복지가 화두다. 6.2지방선거에서 ‘무상급식’이 아젠다로 떠올랐다. 온 나라가 정의, 공정사회 타령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회양극화가 심...
오마이뉴스에 게재된 <교과서를 통해 본 한국근현대사 4강 후기>를 함께 공유합니다. 글은 김도형 인턴이 작성해 주셨습니다. 원문 출처 :http://bit.l...
오마이뉴스에 게재된 <교과서를 통해 본 한국근현대사 3강 후기>를 함께 공유합니다. 글은 김도형 인턴이 작성해 주셨습니다. 원문 출처 : http://bit....
지난 7일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에 서 진행된 '교과서로 읽는 한국 근현대사' 강좌의 첫 번째 강의 '동아시아 질서 재편으로 본 3&mi...
5.18 기념식장에 방아타령이 연주된다. "5.18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대신 <방아타령> - 오마이뉴스" 천박함을 넘었다. 우습다. 광주 30년 무엇...
<'마지막'이라는 단어> '마지막'이라는 단어는 힘이 세다! 마지막 순간, 마지막 회, 마지막 숨소리, 마지막 세일, 마지막 사랑, 마지막 수업... '마지...
<일찍 출발 준비, 그러나> 5시 20분쯤 회사를 나가서 저녁을 먹었다. 물론 공식적으로는 근무시간이다. 5시 55분쯤 회사를 출발하여 6시2분에 분당선 ...
블로그(blog.yes24.com/kgs95)에 올린 후기를 여기에 다시 올립니다^^ ------------------------ <지각, 하지만 즐거운 책읽는 시간> 저번 주 수요일...
공동체란 나에게 허상에 가까운 단어다. 실제로 실체가 없기도 하고 정확한 정의를 잘 모르겠기도 하고. 막연하게 드는 느낌은 ‘설레임’보다는 ‘두려...
<공동체, 그 매력과 두려움> 4강 후기 누군가는 또 다시 누군가와 만나게, 그렇게 돼 있다. 아니라고? 음.... 아님, 말고..... 벌써 강의가 네 번째 시...
코끼리보다 못한 인간들이 모여 ‘함께 살기’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 생각보다 많은 수강생들이 모여들었다. 모두들 외로웠던 것이다. 첫 강의를 맡아주...
참여사회연구소가 지난 10월부터 시작한 ‘참여사회포럼: 대화’(이하 ‘대화’)의 두 번째 모임이 11월 20일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서 열렸다. 이 날은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