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977년 처음으로 500인 이상을 고용하는 대기업에서 먼저 실시되었던 의료보험제도는 전체 인구의 고작 8.6%만 혜택을 받았다. 병원 한 번 가려면 대기...
선대인 "건설족 수괴가 청와대에...정치권력 바꿔 제대로 된 시장경제 해야" 조태근 기자 taegun@vop.co.kr 종합부동산세 폐지, 투기과열지구 해제, 재...
감우산방 그곳에 가면 마흔의 끝자락을 부여잡고 헛헛한 마음을 채울 수 없어 방황을 했던 19년 봄, 지인의 소개로 아카데미 수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번에 처음으로 수강하게 된 느티나무의 강의는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손호철 교수님의 <여행으로 만나는 혁명의 추억>입니다. 이전에 참여연대 1기 ...
'새로운 시작을 위하여 - ‘힐링’을 넘어 ‘성찰’로 : 1강 (1/21, 월) 강의소개 보러가기 >> 클릭 1강 후기보러가기 >> 클...
'새로운 시작을 위하여 - ‘힐링’을 넘어 ‘성찰’로 : 3강 (1/28, 월) - 강의소개 보러가기 >> 클릭 - 1강 후기 보러가기 >> 클릭 - 2강 후기 보러가기 >...
'새로운 시작을 위하여 - ‘힐링’을 넘어 ‘성찰’로 : 1강 (1/14, 월) 강의소개 보러가기 >> 클릭 "반갑습니다" 수업 참여자들은 느티나무홀에 들어오자 ...
시대가 열리고 가장 먼저 개혁되어야 할 대상은 바로 검찰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그 시간동안 검찰 개혁을 주장하는 나의 ...
헌법과 권력구조 6월 19일, 6주 간 진행된 김만권의 정치철학 마지막 강의가 있었습니다! 6강에서는 ‘헌법과 권력구조’라는 주제로 강의가...
검찰을 포함한 사법기관 개혁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많이 높아졌습니다. 마침, 이와 관련된 몇 개의 법안이 국회의 패스트트랙에 올라 가면서, 국회 ...
2017년 정권교체 이후 한반도를 둘러 싼 국제 정세의 많은 변화가 있었고, 현재까지 진행중입니다. '햇볕정책'으로 명칭되는 것처럼, 북한과의 적극적...
사법농단 vs 사법개혁 민주적 사법을 위한 개혁을 꿈꾸다 오늘 모임에서는 사법계의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기 위해 전문가(한상희 건국대 법학...
1. <페미니즘, 한국 남자를 말하다> 강연 참가 후기 참여연대에서 진행한 <페미니즘, 한국 남자를 말하다> 수업을 듣고 왔다. 최태섭과 손희정...
<'한국 남자는 왜 억울해 하는가'를 주제로 강연 중인 최태섭 문화평론가 ⓒ참여연대> '페미니즘, 한국 남자를 말하다' 첫 번째 강의로 문화평론가이자...
<'페미니즘, 그 이로움에 대하여'를 주제로 강연 중인 손희정 문화평론가 ⓒ참여연대> 어제,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요즘 최대 ...
<쉬는시간에도 쉬지않고 자료를 들여다보았던 학구열 넘쳤던 재벌경제 강좌 ⓒ참여연대> “조양호 회장의 대한항공 연임 실패”, “삼성바이오로직스 분...
<깨알진행은 기술이기 보다는 태도가 아닐까 생각했다 ⓒ 참여연대> 와하 가을 학기가 빠르게 지나갔습니다. 6주 만에 "회의 참여자들 모두가 만족하는...
- 낮설음 그리고 설레임이 공존했던 6주는 적당한 속도로 흘러갔다. 다시 시작한 서울살이 5년만에 참여연대 아카데미에 문을 두드렸다. 카페통인에서...
연말, 연초라는 이유로 들뜨고 바쁘게 지내고 있었나보다. 정신을 차려보니 벌써 1월 중순이 되었다. ‘정물:빛과 그림자‘ 수업을 듣고 전시까지 한 후...
‘권리’와 ‘존중’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권리 개념의 핵심은 존중이며, 이를 침해해서는 안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