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엄기호 사회학자는 성장이 불가능한 시대의 페다고지를 만드는 것을 삶의 화두로 삼고 있다. ‘교육공동체 벗’에서 발간하는 <오늘의 교육...
지난 철학 강의 후기 때도 떠들어댔던 바, 난 10대 소년의 마음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30대 후반의 아줌마... 그러므로 이건 뭐 어른도 아니고 아이도 ...
6.2지방선거를 통해 복지는 정치적 화두로 떠올랐고, 그 이후 복지국가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민주주의와 진보, 한...
역사를 연구하고, 가르치며, 또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역사학이란 단순히 과거의 사실 조각들을 수집하며 꿰맞추는 지적 퍼즐 놀이에 지나지 않은...
압제자를 끌어내린 혁명에서 배우자 1강 - 최갑수교수님 프랑스 혁명 : 1789-1799 혁명의 진화 : 정치혁명에서 사회혁명으로! 1.혁명이란? revoluti...
손석희 교수가 전화를 하셔서 '나오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서 (100분 토론) 나간다고 했는데 아, 글쎄 주제가 '이명박 정부 1년에 대한 평가'더라. ...
[혁명과 헌법의 인문학] 강좌 세번째 강의에서 최갑수 선생님이 아이티 혁명의 위대함에 대해서 잠깐 언급하셨는데, 관련해서 참고가 되실 수 있는 글...
"아담스미스"라는 단어를 들으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단어가 '자유방임'과 '보이지 않는 손'이다. 그리고 이 두 단어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시장 규제 ...
심상정 "반MB전선 넘기 위해선 10년 민주정권.진보정치 성찰해야" 조태근 기자 taegun@vop.co.kr 4월부터 이어진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경제교...
신년 북 토크 "우리는 왜" 제 3강 <대한민국은 왜?> - 김동춘. 2016년 2월 18일 목요일, 오후 7시~9시 한국 사람들은 왜 이렇게 불행한가? 그 원...
신년 북 토크 "우리는 왜" 제 2강 <인권 오디세이> - 조효제. 2016년 2월 11일 목요일, 오후 7시~9시 1. 서론 상대방의 세계관이나 사상, 관심사...
신년 북 토크 "우리는 왜" 제 1강 <공부중독> - 엄기호. 2016년 2월 4일 목요일, 오후 7시~9시 1부 : 강의 1. 서론 1) 교육의 양극화 현상 : 이제는...
요즘 한창 합기도에서 배운 하이킥에 꽃힌 느티나무 자원활동가 박현아님이 작성한 <시사평론가 김종배의 글쓰기 교실> 후기입니다. 글쓰기 교실은 올 ...
이번 시간에는 김선욱 선생님을 모시고 <한나 아렌트와 시민불복종>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들었습니다. 열정적이고 유익한 강의를 해주신 선생님과 월요...
세 여자가 있다. 나이는 40대에서 60대 초반까지다. 우리나라에선 한참 아이들을 키우거나 맞벌이를 하며 몸과 마음이 지쳐있을 때쯤이다. 하지만 이 ...
주권(主權) 〔명사〕내가 날 때부터 이미 가지고 있는, 내가 나일 수 있는, 내가 나답게 살아갈 수 있는 고유의 권리 1 강의를 듣고 집으로 돌아오며 ...
얼마전 반값등록금집회에 나간 대학생들에게 200만원의 벌금고지서가 날아왔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사람들 대부분은 ‘너무하다’고 했다. ...
<시민정치와 시민불복종> 1강- 소로우가 생각한 시민불복종은 무엇인가 우리는 먼저 인간이어야 하고, 그 다음에 국민이어야 한다 1 지금은 제목조차 ...
<시민의 눈으로 과학기술을 보다> 4강 후기입니다.강의 시간에 다루신 주제와 조금 다른 접근을 해봤습니다. 어디까지나 사견이니 강의 내용과 혼동 ...
우희종 교수의 '광우병과 신종플루가 보내는 경고' 후기 한광희 장래희망은 과학자입니다! 초등학생 시절 신상조사는 매 학년 의례처럼 이뤄졌다. 설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