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베트남 전쟁과 한반도 : 목표는 달성된 것인가?” 라는 주제로 박태균 교수님께서 강의해 주셨습니다. 과연 우리는 베트남 전쟁으로부터 ...
1. 왜 탈식민 탈냉전인가? 1) 역사인식과 미래 ※ 촛불에 나타난 역사 인식 ∙30년 주기설(25년에서 40년 사이) 예) 1894 동학농민운동, 1919 3.1운동, 1...
'내가 만들어 보는 사극 시놉시스 발표와 강평' 이라는 주제로 마지막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마지막 강의를 위해 5주차에 조편성을 하였고 ...
어느덧 7강입니다. 남은 8강이 조별 시놉시스 발표라는 것을 감안하면, 사료를 토대로 기존 역사드라마를 재고찰하는 것은 마지막인 셈입니다. 매 강의...
엉기조차 벙기조차 엉기벙기 버벙기. 무슨 말인가 싶으시죠? 어릴 적 읽었던 전래 동화 속 주인공 이름입니다. 몇 명 자식을 낳았지만 모두 일찍 죽어...
태조 이성계를 시작으로 마지막 왕인 27대 순종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성군이라 칭하는 왕중에서 빠지지 않는 왕이 바로 22대 정조일 것 입니다. 그...
엄기호 사회학자는 성장이 불가능한 시대의 페다고지를 만드는 것을 삶의 화두로 삼고 있다. ‘교육공동체 벗’에서 발간하는 <오늘의 교육...
지난 철학 강의 후기 때도 떠들어댔던 바, 난 10대 소년의 마음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30대 후반의 아줌마... 그러므로 이건 뭐 어른도 아니고 아이도 ...
6.2지방선거를 통해 복지는 정치적 화두로 떠올랐고, 그 이후 복지국가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민주주의와 진보, 한...
역사를 연구하고, 가르치며, 또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역사학이란 단순히 과거의 사실 조각들을 수집하며 꿰맞추는 지적 퍼즐 놀이에 지나지 않은...
압제자를 끌어내린 혁명에서 배우자 1강 - 최갑수교수님 프랑스 혁명 : 1789-1799 혁명의 진화 : 정치혁명에서 사회혁명으로! 1.혁명이란? revoluti...
손석희 교수가 전화를 하셔서 '나오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서 (100분 토론) 나간다고 했는데 아, 글쎄 주제가 '이명박 정부 1년에 대한 평가'더라. ...
[혁명과 헌법의 인문학] 강좌 세번째 강의에서 최갑수 선생님이 아이티 혁명의 위대함에 대해서 잠깐 언급하셨는데, 관련해서 참고가 되실 수 있는 글...
"아담스미스"라는 단어를 들으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단어가 '자유방임'과 '보이지 않는 손'이다. 그리고 이 두 단어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시장 규제 ...
심상정 "반MB전선 넘기 위해선 10년 민주정권.진보정치 성찰해야" 조태근 기자 taegun@vop.co.kr 4월부터 이어진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경제교...
신년 북 토크 "우리는 왜" 제 3강 <대한민국은 왜?> - 김동춘. 2016년 2월 18일 목요일, 오후 7시~9시 한국 사람들은 왜 이렇게 불행한가? 그 원...
신년 북 토크 "우리는 왜" 제 2강 <인권 오디세이> - 조효제. 2016년 2월 11일 목요일, 오후 7시~9시 1. 서론 상대방의 세계관이나 사상, 관심사...
신년 북 토크 "우리는 왜" 제 1강 <공부중독> - 엄기호. 2016년 2월 4일 목요일, 오후 7시~9시 1부 : 강의 1. 서론 1) 교육의 양극화 현상 : 이제는...
요즘 한창 합기도에서 배운 하이킥에 꽃힌 느티나무 자원활동가 박현아님이 작성한 <시사평론가 김종배의 글쓰기 교실> 후기입니다. 글쓰기 교실은 올 ...
이번 시간에는 김선욱 선생님을 모시고 <한나 아렌트와 시민불복종>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들었습니다. 열정적이고 유익한 강의를 해주신 선생님과 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