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9년 아카데미느티나무 가을학기 서울드로잉 18기의 전시작을 싣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누르시면 이번학기 작품들을 슬라이드쇼로 감상하실 수 있습...
‘노래=음악’인 걸까요? 물론 노래는 음악의 속성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그 가사 덕에 문학일 수도 있죠. <서울, 도시와 공간의 인문학> 일...
쓰레빠. 혹시 마음 한켠에서 ‘슬리퍼’로 고쳐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우리 말에 뿌리내린 일제의 잔재를 청산해야 한다는 의무감 말이죠. 하...
4월 13일 [서울, 도시와 공간의 인문학] 강좌가 막을 올렸다. <서울은 깊다>의 저자이신 전우용 선생님이 1강과 2강의 강의를 맡아 열강해주셨다. 전우...
지난 목요일 못오신 분들께! 다음 목요일은 마지막 시간입니다. 생활의 정치와 관련해, 자신이 요즘 생각하고 있는 어떤 주제에 대해 A4 반장 분량 또...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 강의를 들은 대학생 자원활동가입니다. '생애의 발견 :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는가'에 대해 김찬호 교수님께서 강연해주셨습니...
무엇이 삶의 가치를 드높이는가? 강의자/ 김찬호(성공회대 교양학부 교수) 1.반성과 성찰을 위한 돈의 인문학 우선 강의의 시작은 현재의 우리를 돌아...
안녕하세요. 김민수 간삽니다. 날씨가 많이 쌀쌀해 졌습니다. ㅠㅡㅠ 잘 지내시지요? 지난 주까지 그리스 비극을 함께 봤습니다. 이번 주 부터는 셰익...
안녕하세요. 참여연대 김민수 간삽니다. ^^ 지난 2강은에스킬루스의 3부작 [오레스테이아]를 위주로 강의가 진행됐습니다. 책을 읽고 오지 않으니 영 ...
안녕하세요. 참여연대 김민수 간삽니다. ^^ 비극강좌 2강은 에스킬루스 오레스테이아 3부작 (아가멤논,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자비로운 여신들) 을 중...
3월 31일 저녁, <삶의 주인이 되는 돈의 인문학> 제 4강이 열렸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제윤경 대표님께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다양한 실제 사례를 ...
1강 부동산 덫에 걸린 한국사회와 시민운동 2009년은 하룻밤새 여섯 생명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용산참사로부터 출발했다. 그러나 그 여섯 죽음은 한국...
지난 주 김남근 변호사의 첫 강의에 이어 이번 주 2강은 「부동산 계급사회」의 저자이신 손낙구 강연자를 만나는 자리였다. 강의 주제는 ‘대한...
3월 14일부터 [복지국가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강좌는 복지국가에 대한 막연한 오해나 두려움을 넘어, 복지국가를 ...
강연을 해주신 오건호 선생님이 강의 도입부에 질문 하나를 던지셨다. ‘우리가 환갑의 나이가 될 때 즈음에는 한국이 복지 국가가 되어 있을까’라는 질...
어제(8일) 교과부에서 ‘중학교 새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을 발표했습니다. 논란이 되고 있는 "국사편찬위원회가 제시한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