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정보
갈등과 혐오가 만연한 시대입니다. 밖으로는 21세기에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단어, 전쟁이 벌써 1년 가까이 참혹한 무게감을 보이고 있고, 안으로는 정치·사회면 뉴스를 볼 때마다 마음이 괴롭습니다. 사회 전반에 퍼져있는 불의와 불평등의 체감지수가 극히 높고, 사람들의 마음속 불만이 압력솥 안의 고깃국같이 뜨거운 김을 비명처럼 내뿜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경청과 연대보다는 손쉬운 체념과 혐오 쪽으로 기우는 이들을 많이 봅니다. 우리가 함께 시민으로 연대하며 살아갈 수 있을지 걱정이 들만큼, 우리 사회에는 점점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그 골짜기에는 분노와 혐오가 흐릅니다.
해법을 찾으려는 시도는 다양합니다. 민주주의의 위기라는 진단을 내리고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보려는 움직임, 정의와 평등이라는 키워드를 더 깊이 파고들어 보려는 움직임, 시시각각 거대해지는 자본과 시스템이라는 유물론적 삶의 토대를 해부하려는 움직임. 문화라든가 민족이라는 꽤 폭발력 있는 카드에 기대 보려는 움직임도 보입니다. 해법을 고민함에 있어, 질문과 방향의 학문인 철학에서는 공존이라는 문제를 어떻게 사유해 왔는지 한번 짚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갈등은 인간 삶의 실존적 조건이자, 정치철학의 오랜 화두입니다. 이 강의에서는 공존의 가능성을 믿고 그 방법을 치열하게 고민했던 철학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그 안에서 사고의 전환이 되어 줄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탐색해 봅니다. 삼 주에 걸쳐 차례로 홉스, 롤스, 장자를 만나 공존의 문제를 둘러싼 철학적 논점들을 살펴보고, 함께 사는 일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볼까요? ‘나는 일단 철학과의 공존이 어렵다’는 분들을 위해, 도움이 될만한 미술작품을 함께 보면서 쉽고 편안하게 철학자들을 만날 수 있는 철학 강의를 준비했습니다.
강좌 일정
※ 이 강좌는 부분 수강이 가능합니다. 아카데미느티나무로 문의해주세요.
아카데미느티나무 이메일 people@pspd.org 전화 02-723-0580
강사소개
이진민 세상이 좀 더 다정해졌으면 하는 마음으로 글을 쓰고, 배운 건 남을 줘야 한다는 생각으로 강의를 합니다. 철학을 일상의 말랑말랑한 언어로 풀어내 소통하는 일에 관심이 있습니다. <나는 철학하는 엄마입니다>, <다정한 철학자의 미술관 이용법>, <아이라는 숲>을 썼습니다.
강좌정보
후기 1
쉽고 재밌는 철학 강의, 삶에 활력이 생겼어요
저는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업무 특성상 불운한 일을 당해 도움을 요청하거나 화풀이를 하는 민원인들을 자주 만나는데요,
그 일상의 혼돈 속에서 도피하지 않고 제대로 살아 보려고 철학 독서를 하고 있습니다.
이진민 작가님의 강의는 글쓰기 플랫폼 브런치에서 작가님의 글을 보고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작가님이 브런치 대상 수상하기 전 부터 작가님의 글을 자주 찾아 읽었는데 철학 강의를 하신다니 2번 생각도 않고 수강신청을 했습니다.
강의는 생각보다 훨씬 다채롭고 재밌었습니다.
미술작품을 재료로 철학자의 주장을 설명해 주시니 그 내용이 직관적으로 다가와 이해하기 쉬웠구요,
혼자 책을 읽고 공부했을 때는 놓쳤던 포인트를 알려주셔서 강의 끝나면 설레고 뭉클해서 잠을 못 이뤘습니다.
국내에서 유명한 철학가들 외에도 흥미로운 연구 업적을 가진 분들의 주장을 알게 된 것도, 나만 아는 보석함을 찾은 듯 뿌듯했습니다.
작가님은 일반인들이 흔이 오독하는 지점을 정확하게 알고 짚어주셨고, 오해를 이해로 돌리기 위한 설명과 구성이 알찼습니다.
강의 말미엔 모든 청강생들의 물음에 진중하게 답해주시고, 편안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애써주셨습니다.
3회차 강연에서는 이제껏 공부했던 내용들이 수렴되며 '공존'의 키워드로 연결되어 일관성 있는 흐름에서 철학자들의 주장을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토록 재밌고 알차고 의미있는 강의를 들어본 적이 있었던가, 하는 기쁨으로 3주를 보냈습니다.
좋은 강의 해주신 작가님께 감사드리고
더 나은 세상을 위해 배움의 터를 지키고 강의를 발굴해주신 아카데미느티나무 선생님들께도 감사드립니다.
아래에는 제가 강의를 듣고 깨달은 점을 정리한 글입니다.
부족한 점이 많지만 무력한 일상에 활기를 더하는 생각의 샘을 발견한 기쁨을 나누고 싶습니다.
ㅡ
(1회차 토머스 홉스/마키아밸리)
제도로 인한 변화는 빠르지만 폭력적이고, 인식의 변화는 느리지만 민주적이다. 마키아밸리의 군주론과 홉스의 리바이어던은 그런 의미에서 강인한 권력자가 일사분란하게 제도의 변화를 이끄는 모습과 닮았다. 예측가능한 도덕으로는 카오스의 머리를 깨부술 수 없다. 비대한 근대의 자아상들이 뒤섞이고 휘몰아치는 혼돈 속에서 빠르게 평화의 길을 찾으려면, 판단의 매뉴얼을 가진 독재자가 위악도 서슴지 않고 담대한 전략을 펼쳐야 한다. 인간들의 각기 다른 욕망으로 시끌벅적한 세계에서 이성을 위임받은 자가 지성의 칼날을 들고 승리하여 생존하겠다는 결단은 결코 회의하지 않기에 빠르고 강인한 확신의 군주상을 주조한다. 만약 스스로 사유하여 '내적 필연성'으로 이룬 독자적 도덕이었다면 니체가 말한 '초인'이라 할 만 한데, 정치적 승리를 위해서는 리더가 물러터진 도덕을 구미에 맞게 조정해도 된다는 메세지로 읽는다면 민주주의에 승리는 없을 것이다.
(2회차 존 롤스)
존 롤스의 차등의 원칙이 '자원을 분배할 때'에 한정되고 '정치적, 법적 권리는 어떤 경우에도 불평등하게 분배해서는 안 된다'는 부분은 중요하지만 놓치기 쉬운 포인트였다. 불편부당한 제3자인 리바이어던이 공적 이성을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한 홉스와 달리, 존 롤스는 근본적 정치적 질문을 다루는 민주적 이성(public reason)을 주장했다고 하는데 다원적인 세계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민주적 이성이 하나로 수렴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하는 질문이 생겼다. 무지의 베일은 집어치우고 차이를 인정하여 불의를 피부로 느낀 소수자가 자기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아이리스 영의 주장과 정의가 아닌 부정의에 주목해야 하고, 불의Injustice와 불운misfortune을 구분해야 하며, 기존의 권리 중심 자유주의에서 벗어나 약자의 입장에서 체제의 정당함을 고민하는(혹은 직접 묻는) 공포로부터의 자유주의로 나아갈 것을 촉구한 슈클라shklar의 주장을 보고 뇌가 시원하게 씻겨나가는 기분이 들었다. 무지의 베일이라는 존 롤스의 개념에 권위를 부여하는 바람에 아무런 물음 없이 수동적으로 고개만 끄덕이고 있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반성을 했다.
(3회차 장자)
장자의 성심(이루어져 있는 마음)은 게슈탈트(자극을 의미있는 전체로 지각한 것) 중에서도 반복회귀 게슈탈트(미해결된 과제, 즉 심리적 괴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에서 반복적으로 추구되는 행동동기) 혹은 하이데거가 말하는 일상성을 말하는 것 같고, 장자의 꿈은 게슈탈트이론의 '마야(환상)'을 말하는 것 같다. 나의 성심을 목숨을 건 비약으로 해체하여 꿈에서 깨라, 판단을 중지하여 나의 성심을 망각하고 다시 세계와 나를 연결하라는 명령은, 게슈탈트 이론에서 전경으로 세상을 지각하는 현재의 게슈탈트를 직면하고 그것이 환상임을 적발해 배경으로 해체하여 역동하는 지금-여기의 삶을 온전히 살라는 메세지와도 닮았고, 죽음의 결단으로 일상성을 해체하여 존재와 직면하고 새로운 세계-내-존재로서 전체이자 부분인 존재를 생성해 나가라는 하이데거 철학과도 닮았다.
다른 점이 있다면, 장자의 유머러스한 분위기인 것 같다. 현실에서 갈등과 혐오를 맞닥뜨렸을 때 본능적인 방어반응은 어쩔 수 없다. 가끔은 '이것이 인간인가'하는 회의도 한다. 자아를 해체하여 세계에 뛰어들려면 타자를 만나야 하는데, 타인을 만나는 과정은 예측불가능하고 고통스럽다. 고통은 주로 나를 흔들리게 하고 소외시키고 때론 죽인다. 그러나 '고통은 완전한 타자가 들어오는 균열'(한병철)이라는 점에서 의미있다. 타자를 온 몸으로 환대하며 고통을 견디게 하는 힘이 바로 유머다.
파우스트 처럼 선을 향해 갈망하며 애쓰는 자가 되어, 결국은 구원받을 선의 의지를 '마찰'이 있는 '거친 땅'에서 걷게 만들려면 고통 위에서 춤 출 줄 알아야 한다. 시시비비를 무겁고 진지하게 따지기 보다, 어린아이와 놀이하듯 잠시 뒤로 물러섰다가도 포기하지 않고 손을 뻗치는, 단정짓지 않은 옳음 지향의 춤이 유머다. 프로이트는 유머를 현실 조건의 불리함에도 자아의 균형을 잃지 않고 리비도의 쾌락원칙을 관철시키는, 고통에 대한 방어라고 했다. 타인과의 접촉으로 인한 고통을 유머로 승화시키면, 저절로 해체하여 세계와 연결하는 길이 열릴 것이다.
두려워 할 필요 없다. 죽기를 각오하고 타인에게 뛰어들어도 죽지 않는다. 나의 신념, 역사, 태도를 해체해도 존재는 남는다. 육체가 처참하게 망가져도 존재는 망가지지 않는다. 절벽에 매달린 마지막 한 손 마저 놓아야 열리는 세계가 있다. 그 세계를 쉽고, 재밌고, 만만하게 그려낸 것이 장자의 언어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