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배움터

다양한 교육 소식, 아카데미느티나무에 하는 제안, 서로배움을 응원하는 공간입니다

thumbnail

[초대] 정신분석적 꿈분석 워크숍(11.22 ~ 23. 토일 10:00 ~ 17:00)

꿈은 종종 우리를 불안하게 만들고, 때로는 불길한 느낌에 사로잡히게 합니다. 꿈은 대체로 거창하고 느닷없고, 현실의 논리를 벗어납니다. 그러나 많은 꿈들은 너무 쉽게 기억에서 휘발되어 버립니다. 그 이유는 꿈의 문법을 습득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흡사 문법을 습득하지 못한 외국어 문장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꿈들은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희미한 믿음 때문에 몇 일간 그 꿈의 기운에 사로 잡힐 때도 있습니다. 심지어 어떤 꿈은 수 십 년에 걸쳐 잊혀지지 않습니다. 꿈은 분명히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꿈의 정체를 밝혀 보면, 언제나 소박하고 간결하게 삶의 맥락을 드러냅니다. 말 되어 지지 못한 자신의 소망을 정확히 납득하고 감각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꿈을 분석하는 과정은 자신의 무의식과 소통하는 경험이며, 자아가 방치하고 있는 정신의 깊은 흐름과 만날 수 있는 경험입니다. 본 워크샵은 꿈의 문법을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이론 강의와 개개인의 꿈을 실제로 분석하는 소규모 꿈분석 집단상담 과정을 결합하여 진행합니다. 소규모 꿈분석 집단은 총 5명의 꿈분석 전문가가 리더로 참여합니다. 워크숍 내용꿈, 저자-독자-평론가의 상호 감응과 이해: 꿈의 언어 세계로 들어가기꿈, 억압에서 욕망까지: 억압의 기제와 욕망으로의 환원꿈, 구조와 층위: 같은 경험의 Remaking꿈, 은유와 전치: 꿈 언어의 문법꿈, 상징의 향연: 상징의 보편성과 개인성꿈, 이해를 위한 실제 분석 경험: 소규모 꿈분석 집단상담참가자 준비 사항어린 시절에 꾸었지만 지금까지도 기억나는 꿈 / 언젠가부터 반복적으로 꾸는 꿈 / 최근에 꾼 꿈 등 이와 같은 꿈 중에서 3~5개의 꿈을 기억해 오기. 워크숍 주요 정보일시 : 2025년 11월 22일(토) ~ 23일(일) 오전 10시 ~ 오후 5시장소 : 강북삼성병원 세미나실참가대상자 : 상담자, 비상담자 일반인,  종교인수강료 : 33만원(교재, 및 간식비 포함) 입금계좌 : 기업은행 089-050088-01-023 (예금주  이승욱)신청링크 : https://forms.gle/72myovk1SYjwHcsBA워크샵 리더&코리더 안내​주리더 Main Leader​이승욱전) 오클랜드 정신병전문재활치료센터 심리치료실장전) 뉴질랜드 심리치료사협회 수퍼바이저현) 한국상담심리학회 1급 주수퍼바이저현) <휴맨남성심리상담센터>대표소장 및 <닛부타의숲정신분석클리닉> 대표.현) 팟캐스트 <공공상담소> 진행코리더 Co-leader설진미전) 고려대학교 임상심리실 수련    전)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임상심리실 수퍼바이저현)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연구원  현)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임상심리전문가닛부타의숲정신분석클리닉 <꿈분석전문가 과정> 이수이정민현) 마음봄심리상담연구소 소장 현) 예술심리교육연구회 회장한국상담학회 1급 전문상담사닛부타의숲정신분석클리닉 <꿈분석전문가 과정> 이수김승환현) 휴맨남성심리상담센터 부소장현) 인천남부Wee센터 위촉 집단상담사한국상담심리학회 2급 상담심리사 / 청소년상담사 2급닛부타의숲정신분석클리닉 <꿈분석전문가 과정> 이수환불규정 안내- 11월 16일(일)까지 취소 시 100% 환불- 11월 18일(화)까지 취소 시 50% 환불- 11월 19일(수)부터 취소 환불 불가(사고, 재난, 질병의 경우 환불 가능)문의이메일 real.humanpsy@gmail.com모바일 010-9724-9477 (문자)    ????온라인 채널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u.man_therapy/뉴스레터 https://human-therapy.stibee.com/팟캐스트 https://www.podbbang.com/channels/3643홈페이지 www.hu-man.kr▣ 휴맨심리상담센터는현실에 부합하는 새로운 남성성과 남성심리를 연구하고소수자 및 사회적 약자와 함께, 공의롭고 성평등한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하는 상담센터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https://forms.gle/72myovk1SYjwHcsBA...

thumbnail

새 책! 『정동 연구 지도제작』 알리 라라 엮음, 권명아·이지행·권두현·윤조원·정다연 옮김·해제

엮은이알리 라라 Ali Lara  멕시코에서 태어나 자란 비백인(라틴아메리카계) 남성이다. 그는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에서 사회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뉴욕시립대학교(CUNY)에서 박사후 과정을 수행했다. 그의 연구는 정동 연구, 탈식민적 신체 이론, 특히 인종화 과정에 초점을 둔다. 주요 저서로 Digesting Reality가 있으며, Theory and Psychology, Subjectivity, Capacious, The Senses and Society 등 다수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다. 현재 멕시코 푸에블라 자치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글쓴이 알리 라라 Ali Lara  멕시코에서 태어나 자란 비백인(라틴아메리카계) 남성이다. 그는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에서 사회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뉴욕시립대학교(CUNY)에서 박사후 과정을 수행했다. 그의 연구는 정동 연구, 탈식민적 신체 이론, 특히 인종화 과정에 초점을 둔다. 주요 저서로 Digesting Reality가 있으며, Theory and Psychology, Subjectivity, Capacious, The Senses and Society 등 다수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다. 현재 멕시코 푸에블라 자치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기예르미나 알토몬테 Guillermina Altomonte 뉴욕대 사회학과 조교수. 그녀의 연구는 문화적·물질적 힘이 어떻게 돌봄 시장을 형성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Theory and Society, Social Science & Medicine 등의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으며, 2026년 프린스턴대학교 출판사에서 출간을 앞두고 있는 그녀의 첫 단행본 저서는, 노년기의 독립성이라는 이상이 미국의 정책, 의료 개입, 노인 돌봄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루고 있다. 콜린 P. 애슐리 Colin P. Ashley 뉴욕시립대학교(CUNY) 시티 칼리지에서 사회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셸 빌리스와 함께 흑인성의 정동적 역량에 대한 공동연구를 해 왔으며, 이 외에도 정동과 주체성에 대한 연구를 해 왔다. 미셸 빌리스 Michelle Billies 뉴욕시립대학교(CUNY) 킹스보로 커뮤니티 칼리지의 부교수이자 정신건강과 인적서비스 학위과정의 디렉터이다. 그녀는 이곳에서 비판적 다문화 상담 과목을 가르친다. 빌리스는 교차성과 초국적 페미니즘 관점에서 인종 정의를 탐구한다. 구체적으로는 도시 인종 젠트리피케이션, ‘불심검문’ 치안 관행, 그리고 저소득·다인종·다민족의 레즈비언·게이·바이섹슈얼·트랜스젠더·젠더 비순응(LGBTQ/GNC) 집단이 공공 공간을 활용하는 방식을 기록·분석하며, 연대와 저항의 전략에 집중한다. 또한 콜린 P. 애슐리와의 공동 연구에서는 이윤과 통치를 위해 인구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흑인성의 정동적 역량을 이론적으로 다룬다. 빌리스는 개인 클리닉을 운영하는 게슈탈트 심리치료사이며, 11세 자녀를 둔 부모이기도 하다. 산드라 모야노-아리자 Sandra Moyano-Ariza 바너드 칼리지의 여성, 젠더, 섹슈얼리티 연구학과의 임기제 조교수이자, 바너드 여성연구센터의 리서치 디렉터로 재직 중이다. 해당 센터에서 저널 The Scholar and Feminist Online의 편집을 맡고 있다. 그녀는 뉴욕시립대학교(CUNY) 대학원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녀의 연구는 철학과 디지털 기술의 교차점에 주목하며, 정동 이론, 비판적 뉴미디어 이론, 사변 철학, 신유물론, 페미니스트 존재론 등의 분야에 관심을 두고 있다. 특히 알고리즘 기반의 연애에서 나타나는 고도로 계산되고 가속화된 사랑과 친밀성의 경험, 그리고 이들의 문화적 재현을 주요하게 분석한다. 리우 웬 Liu Wen 대만 중앙연구원 민족학연구소의 부연구펠로우이다. 그녀의 연구는 정동 이론, 비판적 인종 연구, 퀴어 이론에 기반하여, 고조되는 지정학적 갈등 속에서 퀴어 운동, 환태평양 지정학, 시민적 안보 실천을 탐구한다. 그녀는 Feeling Asian American : Racial Flexibility between Assimilation and Oppression (2024)의 저자이며, 이 책은 미국 여성학회에서 1등 상을 수상했다. 토니 D. 샘슨 Tony D. Sampson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선도적 연구자로, 현재 에식스 대학교의 에식스 비즈니스 스쿨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연구와 강의는 디지털과 아날로그 세계에서의 감정적, 감각적, 정동적 경험을 탐구하는 두 개의 상호 연관된 흐름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디지털 영역에서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노동, 바이럴리티, 신경문화, 사용자 경험(UX)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해 활발히 연구하고 출판해 왔다. 아날로그 영역에서는 감정 지리학 개념을 활용해 지역 커뮤니티 개발 및 행동주의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있다. 그의 연구는 사람들이 살아가고 경험하는 시공간적 환경이 어떻게 개인의 경험을 불러일으키고, 형성하며, 억압하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시간과 공간의 정동적 관계는 경험이 어떻게 인식되고, 활용되며, 변화하는지를 결정짓는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샘슨은 디지털 및 물리적 경험의 맥락에서 권력, 포용, 배제의 역학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제시한다. 주요 저작으로는 The Spam Book(Jussi Parikka와 공동 편집, 2009), Virality : Contagion Theory in the Age of Networks(2012), The Assemblage Brain : Sense Making in Neuroculture(2017), Affect and Social Media(2018), A Sleepwalker’s Guide to Social Media(2020), The Struggle for User Experience : Experiments in Birth, School, Work, Death(출간 예정)가 있다. 2014년부터 2022년까지 런던 동부에서 ‘Affect and Social Media’라는 연례 학술대회를 총 7회 주최했다. 옮긴이 권명아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젠더·어펙트연구소> 소장. 대표 저작으로는 『역사적 파시즘 ― 제국의 판타지와 젠더정치』(2005), 『음란과 혁명 ― 풍기문란과 정념의 정치』(2013), 『무한히 정치적인 외로움 ― 한국사회의 정동을 묻다』(2012), 『여자떼 공포, 젠더 어펙트』(2019) 등이 있다. 출간 예정 저작으로는 『정동 연구 지도제작』(공동번역), 『역사적 파시즘 체제의 인종주의와 젠더정치 ― 젠더사로 보는 전시동원 체제』 등이 있다. 파시즘의 젠더 정치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하여, 최근에는 정동 연구를 젠더 연구와 소수자 연구에 기반하여 변용한 젠더·어펙트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확장하여 정동적 사회성과 국가의 정동화 과정에 대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정착 중심의 거주성에 대해 비판적 연구를 이어가면서 대안적 거주성을 젠더·어펙트 연구에 기반하여 이론화하며 대안적 사례를 구축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지행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전임연구원.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지원사업 심사 전문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기술 변화에 따른 동시대 대중문화콘텐츠와 수용자 속성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으며, 최근 연구는 디지털 대중으로서의 팬덤의 정치성 그리고 대중문화에 재현된 포스트휴먼의 비인간으로서의 정체성과 정동경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저서로는 『BTS와 아미컬처』(2019)와 『BTSとARMY わたしたちは連帯する』(2021), 『페미돌로지』(2022, 공저), 『한류 ― 문화자본과 문화내셔널리즘의 형성』(2023, 공저), 『젠더스피어의 정동지리』(2024, 산지니, 공저)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아시아 이주민과 아포칼립틱 빌런 정동 ―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2022)를 중심으로」, 「포스트 시네마가 트라우마적 역사를 재현하는 방식 ― <존 오브 인터레스트>(2023)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정동에서 체현의 문제와 감정의 모빌리티 ― 영화 <그녀(Her)>를 중심으로」, 「팬덤 실천을 통한 초국적 기억정치에의 개입과 정동의 작동 ― ‘BTS 원폭 티셔츠 논란’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권두현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전임연구원이자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디어와 한국 현대문학·문화의 관계에 주목하며, 특히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테크놀로지와 어셈블리지의 문제를 탐구해 왔다. 최근에는 정동지리적 관점에서 인종화된 정동 체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유머와 보디빌딩 ― 아시아 아메리칸 코미디의 정동경제」, 「렌더링과 에뮬레이팅의 생명정치와 정동 지리 ― ‘쿤타 킨테’에서 ‘빌 코스비’까지」, 「초국가적 몸짓산업과 ‘키네틱 애니매시’의 회절 ― 농구 코트 안팎의 몸들과 몸짓의 정동지리」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공저로 『대안적 연결체의 테크놀로지』(2025), 『한국 문화 ― 대중문화 발달과 K콘텐츠』(2023), 『지속가능한 예술한류, 그 가능성을 말하다』(2022) 등이 있다. 윤조원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에서 한국 현대문학을 공부하고 있다. 젠더, 섹슈얼리티, 돌봄과 정동의 관점에서 문학의 경계를 되물으며 문화 기획과 기록을 들여다보는 일에 관심이 있다. 석사학위 논문 「페미니스트의 돌봄-문화정치학 ― 무크지 『또 하나의 문화』를 중심으로」를 썼다. 해당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긴요한 의제로 재부상한 돌봄에 관한 역사적 실천을 조명하고자 했다. 이후에도 어린이와 청소년을 비롯한 소수자 존재와 재현의 문제에 마음을 기울이고 있다. 관련 소논문으로 「기후위기 ‘다르게 느끼기’ ― 어린이·청소년의 대안 정동에 관한 시론」이 있다. 앞으로도 다종다양한 몸을 듣는 법을 고민하며 연구를 계속해 나가고자 한다. 정다연 2025년 9월부터 프린스턴대학교 동아시아학과 박사과정 재학 예정이다. 서울대학교 비교문학 협동과정에서 논문 「<아가씨>와 에로틱 영화」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대 이후 한국에서의 섹슈얼리티와 미디어를 연구하고 있다. 공저로는 『비주류 선언』(2019)이 있고, 번역서로는 김준양의 『오타쿠/팬, 정체성 수행, 아니메 시청의 운동감각적 경험』(2024)이 있다.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영풍문고 지역서점 [서울]  MMCA 미술책방(오프라인)  그날이오면  더북소사이어티  산책자[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메일링 신청하기  https://bit.ly/3GtPbQm...

thumbnail

새 책! 『디지털폴리스와 포스트-정의 : 포스트휴먼 도시공동체를 위하여』 이현재 엮음, 김재인·이현재·현남숙·홍남희·김은주·이혜정·박여리 지음

엮은이이현재 Lee Hyun-Jae  2008년부터 HK사업 ‘글로벌폴리스의 인문적 비전’을 통해 도시인문학의 기초를 확립하는 일을 함께해 왔으며 현재는 인문사회연구소 사업 ‘디지털폴리스의 인문적 비전’에 참여하는 등 도시인문학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몸, 섹슈얼리티, 젠더 등을 신유물론의 관점에서 재구성하는 일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 『여성혐오, 그후 ― 우리가 만난 비체들』, 공저로는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 등이 있다. 공역서로 에드워드 소자, 『포스트메트로폴리스 2』, 낸시 프레이저 외,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로지 브라이도티, 『포스트휴먼 페미니즘』 등이 있다. 글쓴이 김재인 Kim Jae-Yin 철학자.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고등과학원 초학제 연구 프로그램 등에서 연구원으로 일했고,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웹진X』 편집위원장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AI 빅뱅』,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 『공동 뇌 프로젝트』 등이 있다.  현남숙 Hyun Namsook 현재 전북대학교 과학문화연구센터 전임연구원으로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문화적 헤게모니와 동의의 조건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근에는 신유물론적 맥락에서 다종 간 지식과 윤리에 관한 철학적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철학의 눈으로 읽는 여성』, 『철학, 문화를 읽다』, 『페미니즘의 개념들』(이상 공저) 등이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비인간 존재자의 세계 경험 문제 ― 보고스트와 브라이언트의 입장을 중심으로」, 「생태적 응답과 타자현상학」, 「다종 간 지식과 체화된 공감」(이상 공저), 「D. 해러웨이의 다종적 생태정치 ― ‘함께-되기’와 ‘응답-능력’을 중심으로」, 「인류세의 위기와 다종 간 지식의 요청 ― 애나 칭, 쏨 반 두렌, 도나 해러웨이의 인간-너머 타자 이해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홍남희 Hong Namhee 연세대학교 매체와예술연구소에 소속되어 있다.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했다.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인공지능 인프라에 관심을 갖고 있다. 논문으로는 「얼굴-데이터-액티비즘」, 「자동화 테크놀로지와 유령노동」, 「소셜 미디어 시대 여론 극화와 상품으로서의 젠더 뉴스」, 「넷플릭스 체제와 로컬 트루 크라임 다큐멘터리」, 「디지털 플랫폼 시대 자동화 거버넌스와 ‘나쁜 말’의 규제」 등이 있다. 저서는 『편향된 기술문화는 어떻게 작동해 왔는가』, 『SNS 검열』,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공저),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 이해와 실천』(공저), 『디지털 폴리스』(공저),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공저) 등이 있다.  김은주 Kim Eun-Joo 철학연구자.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 연구교수로 있다. 저서 : 『디지털 폴리스』(2024, 공저), 『에코테크네 도시』(2022, 공저), 『페미니즘 철학 입문』(2021),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2021, 공저), 『21세기 사상의 최전선』(2020, 공저), 『여성-되기 ― 들뢰즈의 행동학과 페미니즘』(2019),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2017),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2017) 등. 역서 : 『죽음정치』(2025 출간 예정, 공역), 『변신 ― 되기의 유물론을 향해』(2020), 『페미니즘을 퀴어링!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페미니즘 이론, 실천, 행동』(2018,공역), 『트랜스포지션 ― 유목적 윤리학』(2011, 공역) 등.  이혜정 Lee Hye-Jeong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1970년대 도시소설의 서울 재현 양상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최인호 소설에 나타나는 작가의식 연구 ― 『지구인』의 개작과정을 중심으로」, 「비인간 존재에 대한 탈인지적 사유 ― 김초엽의 『파견자들』을 중심으로」가 있다.  박여리 Park Yeori 미시간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의 시장화된 노인 돌봄 체계와 노인의 계급 정체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의료인류학적 관점에서 노인 돌봄의 현황을 분석해 왔다. 논문으로 「독립적인 삶에 대한 갈망 ― 중국 양로원 중산층 여성 노인의 지식인 계급 정체성」, 「불안한 노년 ― 중국 사립 양로원의 위기로 보는 시장화된 돌봄 체계의 한계」 등이 있다.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영풍문고 지역서점 [서울]  MMCA 미술책방(오프라인)  그날이오면  더북소사이어티  산책자[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메일링 신청하기  https://bit.ly/3GtPbQm...

thumbnail

새 책! 『인지와 인공지능 : 챗GPT부터 스마트 담론까지』 정희원·이혜정 엮음, 캐서린 헤일스·윤미선·김은주·오릿 핼펀·문규민·홍남희 지음, 송은주·김지훈 옮김

엮은이정희원 Heewon Chung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교수. 서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8세기 영국소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학에서 출발하여 도시인문학 등 학제간 인문학을 연구해 왔고, 최근에는 디지털성과 인간성의 관계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대표 논문 : “Photography, Poetry, and Polyphony : Postmemory of the Gwangju Massacre in Han Kang’s Human Acts”(2023), 「인공 행위자의 감정 능력과 젠더 이슈 : 『미래의 이브』와 여성 안드로이드」(2020) 공저 : Kon Kim and Heewon Chung, eds. Gated Communities and the Digital Polis : Rethinking Subjectivity, Reality, Exclusion, and Cooperation in an Urban Future (Springer, 2023),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갈무리, 2021)  이혜정 Lee Hye-Jeong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1970년대 도시소설의 서울 재현 양상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최인호 소설에 나타나는 작가의식 연구 ― 『지구인』의 개작과정을 중심으로」, 「비인간 존재에 대한 탈인지적 사유 ― 김초엽의 『파견자들』을 중심으로」가 있다.  글쓴이 N. 캐서린 헤일스 N. Katherine Hayles 학부에서 화학을 공부하고 석사를 받은 뒤 영문학 연구를 시작해서 현재 과학과 문학, 포스트휴머니즘, 인공지능과 문학 연구 분야의 석학이다. 국내에 번역된 저서로는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와 『나의 어머니는 컴퓨터였다』가 있다. 현재 UCLA 영문과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윤미선 Misun Yun 인하대학교 영미유럽인문융합학부 부교수. 헨리 제임스(Henry James)와 정기간행물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출판 매체, 매체로서의 인공지능, 디지털인문학을 연구해 왔다. 8인의 공동연구자와 함께 소설 쓰는 AI 모델을 개발하는 〈인간과 협업하는 딥러닝 기반 AI 소설 생성 융합 연구〉(한국연구재단)를 수행했으며(2022. 7~2025. 6), 대전에서 개최되는 〈세계디지털인문학협의회〉(ADHO)의 프로그램위원회 공동의장이다. 대표 논문 : “Henry James and Beethoven : Critique of Bildung and Pure Sound in The Portrait of a Lady”(2024), 「인문 “스몰데이터” 연구방법론과 사례 연구 : 19세기 말 영국 정기간행물 비평 담론 ― 주간지 『런던』을 중심으로」(2023) 공저 : 『인공지능의 편향과 챗봇의 일탈』(2022)  김은주 Kim Eun-Joo 철학연구자.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 연구교수로 있다. 저서 : 『디지털 폴리스』(2024, 공저), 『에코테크네 도시』(2022, 공저), 『페미니즘 철학 입문』(2021),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2021, 공저), 『21세기 사상의 최전선』(2020, 공저), 『여성-되기 ― 들뢰즈의 행동학과 페미니즘』(2019),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2017),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2017) 등. 역서 : 『죽음정치』(2025 출간 예정, 공역), 『변신 ― 되기의 유물론을 향해』(2020), 『페미니즘을 퀴어링!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페미니즘 이론, 실천, 행동』(2018,공역), 『트랜스포지션 ― 유목적 윤리학』(2011, 공역) 등.  오릿 핼펀 Orit Halpern 드레스덴 공대 디지털문화학과 학과장이자 교수. 사이버네틱스와 인공지능의 역사 등을 연구해 왔다. 로버트 미첼(Robert Mitchell)과 함께 The Smartness Mandate를 썼고, 드레스덴 공대 디지털문화 연구 그룹과 함께 연구집단 〈재앙에 맞서〉(Against Catastrophe)를 운영하고 있다.  문규민 Moon Kyumin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대학원에서 인도불교학과 분석철학을 전공했다. 의식의 과학과 형이상학, 현대 존재론과 인류학의 새로운 흐름들, 4E 인지 이론 등을 연구하고 있다. 고려대, 서울시립대, 중앙대 등에서 가르치고 연구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Making Sense of Consciousness as Integrated Information”, “Exclusion and Underdetermined Qualia”, 「자율주행의 책임 문제」, 「라투르와 일반화된 행위성」이 있다. 저서 : 『신유물론 입문』, 『제인 베넷 ― 물질의 삶』 역서 : 대니얼 데닛, 『의식이라는 꿈』  홍남희 Namhee Hong 연세대학교 매체와 예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했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디지털 미디어와 기술문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 : 『디지털 폴리스』(2024, 공저), 『편향된 기술문화는 어떻게 작동해 왔는가』(2023), 『디지털 문해력 이해와 실천』(2023, 공저),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2022, 공저),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2021, 공저), 『AI와 더불어 살기』(2020, 공저), 『SNS 검열』(2019)  옮긴이 송은주 Song Eunju 이화여자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인문과학원 객원연구원이며 을지대, 성균관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인류세 담론, 생태비평, 포스트휴머니즘, SF문학 연구이다. 저서 : 『당신은 왜 인간입니까 ― AI 시대의 섬뜩한 질문』, 『인류세 시나리오』, 『인공지능 시대의 철학자들』(공저), 『포스트휴먼으로 살아가기』(공저) 외 역서 : 『포스트휴먼 지식』, 『나의 어머니는 컴퓨터였다』, 『바디 멀티플』 외.  김지훈 Kim Jihoon 중앙대학교 영화미디어학센터(CAU Center for Cinema and Media Studies/CAU-CCMS)의 디렉터로 Activism and Post-activism : Korean Documentary Cinema, 1981-2022 (Oxford University Press, 2024), Documentary’s Expanded Fields : New Media and the Twenty-First-Century Document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22)를 비롯한 세 권의 연구서를 출간했으며, 2025년 9월 첫 한국어 저서 『위기미디어 ― 위태로운 21세기 사회와 미디어의 확장』(대우학술총서/아카넷)을 출간할 예정이고 현재 Mathemagical Media : Generative AI and Its Images를 다음 저서로 준비 중이다.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영풍문고 지역서점 [서울]  MMCA 미술책방(오프라인)  그날이오면  더북소사이어티  산책자[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메일링 신청하기  https://bit.ly/3GtPbQm...

thumbnail

[온라인][주말 청소년 인문학] 초등토론, 중등철학 강좌 개강 안내 (9/7 시작!)

교육공동체 나다 주말 인문학강좌  온라인 "휴머니잼" 25년 9월개설 강좌   초등 토론 나도 말 좀 하자 (10강) ★ 빼앗긴 생각의 자유를 되찾기 위한 어린이들의 반격 △참가자 12~13세  △기간 9월 7일~11월 30일△시간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오후 12시 30분   1강_ 어린이 출입 금지 : 노키즈존, 어린이에 대한 차별일까? 2강_ 존댓말 학교 : 반말하는 건 예의 없는 행동일까? 3강_ <체인소맨>이 재밌는 이유 : 잔인한 만화, 어린이가 봐도 괜찮을까? 4강_ 넌 머리가 왜 그렇게 길어? : 남자아이? 여자아이? 5강_ 분리수거 한 번에 100원: 초등학생 용돈, 얼마나 줘야 할까? 6강_ 말 안 들을 거면 내 집에서 나가! : 우리 집의 주인은 누구인가? 7강_ 선생님을 우리가 뽑는다면 : 호랑이 선생님 vs 천사 선생님 8강_ 학교 안 갈래! : 학교에 가야 하는 이유는 뭘까? 9강_ 어린이를 국회로: 어린이도 정치해도 될까? 10강_ 나중에 어른이 되면? 지금 어린이인 채로! 중등 철학 미래는 과거보다 가깝다 (10강) ★ 기술발전이 불러온 미래에 대한 두려움 앞에서  인간과 과학의 관계를 다시 묻다 △참가자 14~16세  △기간 9월 7일~11월 30일△시간 온라인 매주 일요일 오후 1시~3시 1강_ 오래된 미래 : 유토피아 혹은 디스토피아 2강_ 중립이라는 편견을 벗다 : 과학사와 과학관 3강_ 과학, 차별을 만나다 : 과학은 소수자에게 어떤 의미일까? 4강_ 인간의 조건 : 인간과 기계의 경계에서 5강_ 안드로이드는 전기 양의 꿈을 꾸는가 : 지배와 복종의 논쟁을 넘어 6강_ 인공 자궁을 둘러싼 논쟁들 : 정말 윤리만이 문제일까 7강_ 어쩌면 가장 쓸모없는 기술 AI : 인공지능, 인간의 자리를 차지하다 8강_ 화성으로 갈 거니깐? : 기후위기의 지구를 구하는 방법 9강_ 네트워크형 인간: 모든 것이 연결된 사회에서 살아가는 법 10강_ 이성과 과학의 시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강좌 상세소개 다운받기강좌 신청하러 가기참가신청 안내 1. 신청링크를 클릭해 신청자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 https://forms.gle/U1Li9ga6XDsCorXe6 2. 후원회원 가입 선택 후원회원은?  가입신청서를 작성하고 월회비 1만원 이상을 납부하는 후원자입니다.   ● 주말강좌(휴머니잼)와 방학특강 강좌후원금 20% 할인 가입 방법  홈페이지 상단 “후원하기” http://nada.jinbo.net/membership 에서 양식 작성.※ 홈페이지에 글쓰기를 하기 위한 로그인 회원과는 별개입니다.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3. 강좌후원금 납부 ▶ 강좌후원금 :  초·중등부 20만원 (후원회원 20% 할인)  ※ 강좌후원금 납부 예외를 원하시면 상의해 주세요. ▶ 계좌 : 농협은행 317-0029-3819-51 교육공동체나다 4. 그 밖에  참고하실 사항 강의 시간  주 1회, 2시간 진행 방법  Zoom 온라인 문의 010-6551-1603 (담당자), nada_letter@hanmail.net 찾아가는 강좌?  교육공동체 나다는 찾아오는 강좌(매주 주말에 열리는 일상강좌)와 방학특강 외 찾아가는 강좌(외부강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책언니, 청소년, 20대, 성인 인문학 강의를 요청하시면 해당 지역으로 찾아가 강의를 진행합니다. 강좌주제와 일정은 공간 담당자와 함께 논의한 후 결정합니다.나다의 인문학 강좌 둘러보기 찾아가는 강좌 신청하러 가기 후원은 나다를 이어가는 '활동'입니다. 나다를 후원해주세요! 농협 317-0029-3819-51 교육공동체나다나다 후원하기카카오톡 채널 운영중! 교육공동체 나다 뉴스레터 <모_다>와 다양한 행사, 강좌, 활동 소식 등을 받아보실 수 있는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해주세요!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기교육공동체 나다nada_letter@hanmail.net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수읍 장천로 178-1, 2층 063-352-0148 수신거부 Unsubscribe...

thumbnail

[마감] 정신분석적 꿈분석 워크숍 (25.8.15~16. 금토 10:00~17:00)

꿈은 종종 우리를 불안하게 만들고, 때로는 불길한 느낌에 사로잡히게 합니다. 꿈은 대체로 거창하고 느닷없고, 현실의 논리를 벗어납니다. 그러나 많은 꿈들은 너무 쉽게 기억에서 휘발되어 버립니다. 그 이유는 꿈의 문법을 습득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흡사 문법을 습득하지 못한 외국어 문장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꿈들은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희미한 믿음 때문에 몇 일간 그 꿈의 기운에 사로 잡힐 때도 있습니다. 심지어 어떤 꿈은 수 십 년에 걸쳐 잊혀지지 않습니다. 꿈은 분명히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꿈의 정체를 밝혀 보면, 언제나 소박하고 간결하게 삶의 맥락을 드러냅니다. 말 되어 지지 못한 자신의 소망을 정확히 납득하고 감각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꿈을 분석하는 과정은 자신의 무의식과 소통하는 경험이며, 자아가 방치하고 있는 정신의 깊은 흐름과 만날 수 있는 경험입니다. 본 워크샵은 꿈의 문법을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이론 강의와 개개인의 꿈을 실제로 분석하는 소규모 꿈분석 집단상담 과정을 결합하여 진행합니다. 소규모 꿈분석 집단은 총 5명의 꿈분석 전문가가 리더로 참여합니다. 워크숍 내용꿈, 저자-독자-평론가의 상호 감응과 이해: 꿈의 언어 세계로 들어가기꿈, 억압에서 욕망까지: 억압의 기제와 욕망으로의 환원꿈, 구조와 층위: 같은 경험의 Remaking꿈, 은유와 전치: 꿈 언어의 문법꿈, 상징의 향연: 상징의 보편성과 개인성꿈, 이해를 위한 실제 분석 경험: 소규모 꿈분석 집단상담참가자 준비 사항어린 시절에 꾸었지만 지금까지도 기억나는 꿈 / 언젠가부터 반복적으로 꾸는 꿈 / 최근에 꾼 꿈 등 이와 같은 꿈 중에서 3~5개의 꿈을 기억해 오기. 워크숍 주요 정보일시 : 2025년 8월 15일(금) ~ 16일(토) 오전 10시 ~ 오후 5시장소 : 강북삼성병원 세미나실참가대상자 : 상담자, 비상담자 일반인,  종교인수강료 : 33만원(교재, 및 간식비 포함) 입금계좌 : 기업은행 089-050088-01-023 (예금주  이승욱)신청링크 : https://forms.gle/tMixmzY72QL3kjX17워크샵 리더&코리더 안내​주리더 Main Leader​이승욱전) 오클랜드 정신병전문재활치료센터 심리치료실장전) 뉴질랜드 심리치료사협회 수퍼바이저현) 한국상담심리학회 1급 주수퍼바이저현) <휴맨남성심리상담센터>대표소장 및 <닛부타의숲정신분석클리닉> 대표.현) 팟캐스트 <공공상담소> 진행코리더 Co-leader설진미전) 고려대학교 임상심리실 수련    전)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임상심리실 수퍼바이저현)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연구원  현)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임상심리전문가닛부타의숲정신분석클리닉 <꿈분석전문가 과정> 이수이정민현) 마음봄심리상담연구소 소장 현) 예술심리교육연구회 회장한국상담학회 1급 전문상담사닛부타의숲정신분석클리닉 <꿈분석전문가 과정> 이수박명준한국상담심리학회 1급 상담심리사 한국상담학회 1급 전문상담사뉴욕정신분석협회(PANY)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과정 수료닛부타의숲정신분석클리닉 <꿈분석전문가 과정> 이수김승환현) 휴맨남성심리상담센터 부소장현) 인천남부Wee센터 위촉 집단상담사한국상담심리학회 2급 상담심리사 / 청소년상담사 2급닛부타의숲정신분석클리닉 <꿈분석전문가 과정> 이수환불규정 안내- 8월 10일(일)까지 취소 시 100% 환불- 8월 12일(화)까지 취소 시 50% 환불- 8월 13일(수)부터 취소 환불 불가(사고, 재난, 질병의 경우 환불 가능)문의이메일 real.humanpsy@gmail.com모바일 010-9724-9477 (문자)    홈페이지 www.hu-man.kr▣ 휴맨심리상담센터는현실에 부합하는 새로운 남성성과 남성심리를 연구하고소수자 및 사회적 약자와 함께, 공의롭고 성평등한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하는 상담센터를 지향하며 지난 2025년 6월 21일 설립했습니다. ...

thumbnail

새 책! 『빛의 혁명 183 : 12·3 내란의 어둠을 뚫고 물민광장을 밝힌 제헌활력』 조정환 지음

지은이조정환 Joe Jeong Hwan, 1956~  1956년 경남 진양군 대평면 내촌리에서 태어났다. 박정희 정권의 서슬이 퍼렇던 1968년 국민학교 6학년 때 아이러니하게도 전교어린이승공회 회장을 맡았다. 진주중학교에 진학했으나 남강 댐공사로 마을이 수몰되어 서울로 전학했다. 서울대학교에 진학했으나 군인들이 교문을 지키고 나무 한 그루 없는 황량한 학교가 싫어서 자취방이나 다방에서 소설과 시를 쓰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대학원에서 한국근대문학을 연구하던 중 광주민중항쟁의 진상을 알게 되면서 친구들과 모여 맑스주의 미학을 공부했다. 이후 문학은 노동자·민중과 함께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고 <민중미학연구회> 창립에 참여했다. <민중미학연구회> 사건으로 1986년 12월 31일 오후에 남산 안기부로 끌려가 고문당했다. 1987년 1월 19일 서울구치소로 이감되었는데 소내에서 1월 14일에 박종철 군이 물고문으로 사망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때부터 서울구치소에서 벌어졌던 재소자인권투쟁 현장이 대학, 대학원보다 더 진정한 학교이고 함께한 동지들이 교수보다 더 훌륭한 스승이었다고 느낀다. 감옥에서 구상한 노동계급 당파성 문학을 실천하기 위해 1988년 김사인, 박노해, 신은주를 비롯한 여러 문학예술가들과 『노동해방문학』을 창간하여 주간으로 활동했다. 1990년 10월 30일 전국 지명수배가 되어 1999년 12월 24일 수배해제되기까지 안기부(국정원)의 추적을 받았다. 이십여 년의 기간이 나에게는 1980년대에 가졌던 정통 맑스레닌주의적 관점을 자기비판적으로 재검토할 수 있었던 고통스럽지만 행복한 시간이었다. 1994년경부터는 국가, 자본, 당에서 독립적인 다중의 제헌활력에서 사회혁명의 동력과 지도력을 찾는 자율주의적 관점을 갖게 되었고 갈무리 출판사를 만들어 관련 출판물을 내기 시작했다. 1986년부터 호서대, 중앙대, 성공회대, 연세대 등에서 한국근대문예비평사와 탈근대사회이론을 강의했다. 『실천문학』 편집위원, 월간 『노동해방문학』 주간을 역임했다. 2000년부터 <다중문화공간왑>, <다중네트워크센터>, <다중지성의정원>으로 이어지는 집단지성 공간을 만들어 현재 대표 겸 상임강사로 활동 중이다. 5·18 광주민중항쟁을 분석한 『공통도시』, 21세기 자본주의의 거대한 전환을 다룬 『인지자본주의』, 인지자본주의하에서 다중 누구나가 예술인간으로 되고 있음에 주목한 『예술인간의 탄생』, 대의민주주의가 직접민주주의에 의해 섭정되는 민주주의의 새로운 전망을 다룬 『절대민주주의』 외에 십수 권의 책을 썼고 수십 권의 책을 번역했다.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영풍문고 지역서점 [서울]  MMCA 미술책방(오프라인)  그날이오면  더북소사이어티  산책자[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메일링 신청하기  https://bit.ly/3GtPbQm...

thumbnail

새 책! 『이 폭풍의 전개 : 뜨거워지는 세계 속의 자연과 사회』 안드레아스 말름 지음, 김효진 옮김

지은이안드레아스 말름 Andreas Malm, 1977~  스웨덴의 맑스주의 생태학자이자 기후행동가이며, 현재 스웨덴 룬드 대학교에서 인간생태학을 가르치고 있다. 맑스주의 학술 저널 Historical Materialism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전 지구적 기후위기와 불평등의 현행 국면을 극복할 정치적 해법으로 생태사회주의적 이행 전략을 선도하고 있는 핵심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14년에 룬드 대학교에서 화석연료 자본주의 경제의 기원을 맑스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 그 논문을 저본으로 하여 『화석 자본』(2016 ; 2023)을 첫 번째 단독 저서로 출판하였고 그해 ‘도이처 기념상’을 수상했다. 기후변화라는 “주제에 관한 가장 독창적인 사상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으며, 자본주의와 생태위기의 연관성을 파헤치는 저작들을 꾸준히 발표해 왔다. 최근에는 기후위기 국면에서 극우파가 실행하는 역할과 지구공학의 정치경제학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야생의 정치에 관한 책을 저술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이 폭풍의 전개』(2018 ; 2025), 『코로나, 기후, 오래된 비상사태』(2020 ; 2021), How to Blow Up a Pipeline (2021), White Skin, Black Fuel (2021 공저), Fighting in a World on Fire (2023), Overshoot (2024 공저), The Destruction of Palestine Is the Destruction of the Earth (2025) 등이 있다.   옮긴이김효진 Kim Hyojin, 1962~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하였으며 인류세 기후변화와 세계관의 변천사에 관심이 많다. 옮긴 책으로 『네트워크의 군주』, 『생명의 그물 속 자본주의』, 『객체들의 민주주의』,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가속하라』, 『사물의 통치』, 『반시대적 객체』 등이 있다.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영풍문고 지역서점 [서울]  MMCA 미술책방(오프라인)  그날이오면  더북소사이어티  산책자[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메일링 신청하기  https://bit.ly/3GtPbQm...

thumbnail

새 책! 『돌봄의 논리 : 능동적인 환자와 선택권의 한계』 아네마리 몰 지음, 김로라 옮김, 임소연 감수

지은이아네마리 몰 Annemarie Mol, 1958~  암스테르담 대학교의 몸인류학 교수. 네덜란드의 위트레흐트 대학교에서 의학과 철학을 전공한 후, 흐로닝언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 취득. 그 이후로 과학·기술·사회학 분야에서 독창적인 철학적 통찰력을 펼쳐 온 인류학자이자 철학자, 과학기술학자이다.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에 행위자와 돌봄 모두에 주의를 기울이는 페미니스트적 감수성을 결합하여 실천과 존재론으로 발전시켰다. 첫 단독 저서 『바디 멀티플』은 2004년 루드비크 플레츠크상과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재단>의 도서상을 수상하였다. 2012년에는 네덜란드 최고 학술상인 스피노자상을 수상하였고 2024년에는 <과학사회학회>에서 수여하는 버널상을 수상하였다. 최근 저서인 Eating in Theory(2021)와 Eating is an English Word(2024)에서는 철학적으로 엄격하면서도 일상적인 실천에 기반을 둔 방법으로 언어와 식사에 접근하였다.   옮긴이김로라 Kim Laura  부산대학교 치과대학(현재 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학사, 석사, 박사 졸업. 대학 졸업 후 부산에서 개인 치과의원을 개원. 개업 의사로 살다가 2015년에 폐업하고 동경해 왔던 ‘다른 삶’에 대한 호기심을 실천에 옮겼다. 수유너머 104에서 들뢰즈 및 여러 다른 철학자들을 접하게 되었고 관심이 생명의 진화와 인류의 역사로 확장되면서 이런저런 책들과 씨름하며 희망하던 백수 생활을 하고 있다.   감수자임소연 Leem So Yeon, 1977~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부 졸업. 텍사스 공과대학교 박물관학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기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 인간향상기술과 몸, 기술정동과 인공지능 윤리, 이공계 여성과 페미니스트 과학기술, 현장연구 방법론 등에 관심이 있다. 저서로 『신유물론×페미니즘』(2023 공저), 『나는 어떻게 성형미인이 되었나』(2022), 『신비롭지 않은 여자들』(2022) 등, 역서로 『바디멀티플』(2022 공역)이 있다. 현재 『과학기술학연구』 편집위원장, 동아대학교 융합대학 조교수이다.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영풍문고 지역서점 [서울]  MMCA 미술책방(오프라인)  그날이오면  더북소사이어티  산책자[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메일링 신청하기  https://bit.ly/3GtPbQm...

thumbnail

[필로버스] 7-8월 세미나/강좌 안내

※ 제목을 클릭하면 상세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강의] 프랑스어 기초 9주 완성 '25.6.30-8.25(9주) [월] 19:30-22:00 | 강사 오규진❏ [강의] 에드문트 후설『사물과 공간』읽기 ‘25.7.1-8.19(8주) [화] 19:30-21:30 | 강사 김준석❏ [강의] 마르틴 하이데거『존재와 시간』강독 Ⅰ ‘25.7.2-8.20(8주) [수] 19:30-21:30 | 강사 하피터❏ [강의] 현대 사상의 문턱, 소쉬르와 구조언어학 '25.7.3-8.7(6주) [목] 19:30-21:30 | 강사 전혜진❏ [강의] 노베르트 엘리아스『기득권자와 아웃사이더』강독 '25.7.3-8.21(8주) [목] 19:00-21:30 | 강사 김덕영 ❏ [강의] 위기의 정치, 정치의 위기 - 어떻게 민주주의는 독재가 되는가 ‘25.7.4-8.22(7주) [금]19:00-21:00 | 강사 지주형❏ [튜터링 세미나] 한국 도시 연구 '25.7.8~8.26(8주) [화] 19:30-21:30 | 튜터 임동근❏ [강의] 스피노자『정치론』읽기 '25.7.9-8.20(7주) [수] 19:00-21:00 | 강사 정선우❏ [강의] 젠더의 역사 '25.7.10-7.31(4주) [목] 19:30-21:30 | 강사 염운옥❏ [강의] 니클라스 루만『사회의 사회』강해 3. 진화 '25.7.14-8.18(6주) [월] 19:30-21:30 | 강사 정성훈 ❏ [강의] 마르크스주의 역사이론 2 자본 이전의 세계 '25.7.18-8.22(5주) [금] 19:30-22:00 | 강사 손민석❏ [튜터링 세미나] 호메로스『일리아스』읽기 '25.7.21-8.25(5주) [월] 19:30-21:30 | 튜터 이시욱...

thumbnail

[KOVA] 사단법인 한국피해자지원협회 온라인 상시교육 개설 안내

KOVA 온라인 상시교육 안내1. 교육접수 및 교육일정① 접수기간 : 2025년 05월 28일 수요일부터 상시 접수② 수강기간 : 2025년 05월 30일 금요일부터 상시 수강 가능➂ 신청방법 : 에듀코바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 > 네이버폼 신청접수 > 교육수강률 입금> 교육 수강 사이트(캐스티오) 계정 발급 > 로그인 후 온라인 수강- 네이버폼 신청 : https://naver.me/GEieLrLs (※ 마이페이지 > 서류제출, 회원정보 작성 필요. 인적사항 작성(사진포함) 및 첨부파일(증명서류)을 반드시 첨부 부탁드립니다.) 2. 교육 일정1) 수강기간 : 2025년 05월 30일부터 상시적으로 온라인 강의를 통해 자유롭게 시청 가능.2) 비      고 : 최초 교육 수강료 납부 3개월 통한 수강 가능 2) 혜택① 100% 수강 완료 시 KOVA 상시교육 수료증 부여② 피해상담사 자격증 소지자 경우 자격갱신조건 중 1회 인정.(※유료 특강 이수 시 해당되며, 1인 1년 1회 인정) 3) 교육훈련비과목명강사수강료KOVA 피해상담보고서작성법_심화김정인대구경북지부장30,000원뇌기반 상담과 의사소통홍춘우교육사업실행위원장DBT(변증법적)상담의 이해 및 활용김은주1급 피해상담사포토샵의 기초전지영(재능기부)무료특강결제방법 계좌입금 신한은행 140-009-691902 사단법인 한국피해자지원협회카드결제 : https://s.tosspayments.com/BlyCTK0UGYm문의사항 : 02-3437-8700, 카카오톡 메시지  https://bit.ly/3Hm5Ibb 4) 문의처TEL. 02-3437-8700FAX. 02-3436-1704E-Mail. help@trykova.org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4길 25 코오롱디지털타워1차 413호...

thumbnail

새 책! 『들뢰즈와 맑스 : 이웃의 코뮤니즘』 마쓰모토 준이치로 지음, 이성혁 옮김

지은이마쓰모토 준이치로 松本潤一郎, 1974~  도쿄 출생. 릿쿄(立教) 대학 대학원 문학 연구과 박사 후기 과정을 수료했다. 슈지츠(就実)대학 인문과학부 표현문화학과 교수. 프랑스 문학·사상·철학 전공. 저서로는 본서 『들뢰즈와 맑스』(2019 ; 2025), 공저로는 『ドゥルーズ 生成変化のサブマリン』(2005), 『ドゥルーズ/ガタリの現在』(2008), 『ドゥルーズ, 千の文学』(2011), 『政治経済学の政治哲学的復権—理論の理論的〈臨界‐外部〉にむけて』(2011), 『ドゥルーズ・知覚・イメージ—映像生態学の生成』(2015), 『現代思想と政治—資本主義・精神分析・哲学』(2016) 등이 있다.   옮긴이이성혁 Lee Seong Hyuk, 1967~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1920년대 한국 근대시의 전위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대 초빙교수, 선문대 문학이후연구소 연구원. 평론집으로는 『불꽃과 트임』(2005), 『불화의 상상력과 기억의 시학』(2011), 『서정시와 실재』(2011), 『미래의 시를 향하여』(2013), 『모더니티에 대항하는 역린』(2015), 『사랑은 왜 가능한가』(2019),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2020), 『시, 사건, 역사』(2021), 『이상 시문학의 미적 근대성과 한국 근대문학의 자장들』(2022)이 있고 번역서로는 『화폐인문학』(2010, 공역) 『사건의 정치』(2017)가 있다.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영풍문고 지역서점 [서울]  MMCA 미술책방(오프라인)  그날이오면  더북소사이어티  산책자[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메일링 신청하기  https://bit.ly/3GtPbQm...

thumbnail

[온라인][주말 청소년 인문학] 초등인권, 중등철학 강좌 개강 안내 (6/1 시작!)

교육공동체 나다 주말 인문학강좌  온라인 "휴머니잼" 25년 6월개설 강좌   초등 인권 고민하는 자람이 (10강) ★ 어린이의 일상에서 찾은 인권에 대한 질문과 토론 △참가자 12~13세  △기간 6월 1일~8월 31일△시간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오후 12시 30분 1강_ 이유 있는 차별 2강_ 요즘 어린 것들은 3강_ 자람이의 사생활 4강_ 텅 빈 놀이터 5강_ 이상한 학급회의 6강_ 고릴라 이야기 7강_ 너 여자 맞아? 8강_ 장애 만드는 세상 9강_ 가난하게 태어난 아이 10강_ 빵점이 뭐가 나빠   중등 철학 마음을 찍는 사진관 (10강) ★ 일상문화를 통해 접근하는 청소년 철학 입문 △참가자 14~16세  △기간 6월 1일~8월 31일△시간 온라인 매주 일요일 오후 1시~3시 1강_ 마음을 찍는 사진관 : 나는 어떤 존재일까 2강_ 그림자 놀이 : 세계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방법 3강_ 인생은 논리적 오류야 : 논리적으로 산다는 말의 의미 4강_ 데스노트가 주어진다면 : 선과 악의 기준은 도대체 뭘까? 5강_ 사랑하고 싶어 : 내가 사랑을 하는 이유 6강_ 소꿉장난의 추억 : 부조리의 정체 7강_ 게임이 재미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적절한 경쟁은 꼭 필요할까? 8강_ 멋진 신세계 : 가상현실에서 살아가는 법 9강_ 정의란 무엇인가 : 정의(正義)를 정의(定義)하다 10강_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 : 삶을 지배하는 건 우연일까 필연일까 강좌 상세소개 다운받기강좌 신청하러 가기참가신청 안내 1. 신청링크를 클릭해 신청자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 https://forms.gle/VDH6ActhLZhiUgcf8 2. 후원회원 가입 선택 후원회원은?  가입신청서를 작성하고 월회비 1만원 이상을 납부하는 후원자입니다.   ● 주말강좌(휴머니잼)와 방학특강 강좌후원금 20% 할인 가입 방법  홈페이지 상단 “후원하기” http://nada.jinbo.net/membership 에서 양식 작성.※ 홈페이지에 글쓰기를 하기 위한 로그인 회원과는 별개입니다.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3. 강좌후원금 납부 ▶ 강좌후원금 :  초·중등부 20만원 (후원회원 20% 할인)  ※ 강좌후원금 납부 예외를 원하시면 상의해 주세요. ▶ 계좌 : 농협은행 317-0029-3819-51 교육공동체나다 4. 그 밖에  참고하실 사항 강의 시간  주 1회, 2시간 진행 방법  Zoom 온라인 문의 010-6551-1603 (담당자), nada_letter@hanmail.net 찾아가는 강좌?  교육공동체 나다는 찾아오는 강좌(매주 주말에 열리는 일상강좌)와 방학특강 외 찾아가는 강좌(외부강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책언니, 청소년, 20대, 성인 인문학 강의를 요청하시면 해당 지역으로 찾아가 강의를 진행합니다. 강좌주제와 일정은 공간 담당자와 함께 논의한 후 결정합니다.나다의 인문학 강좌 둘러보기 찾아가는 강좌 신청하러 가기 후원은 나다를 이어가는 '활동'입니다. 나다를 후원해주세요! 농협 317-0029-3819-51 교육공동체나다나다 후원하기카카오톡 채널 운영중! 교육공동체 나다 뉴스레터 <모_다>와 다양한 행사, 강좌, 활동 소식 등을 받아보실 수 있는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해주세요!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기교육공동체 나다nada_letter@hanmail.net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수읍 장천로 178-1, 2층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