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 안과 밖의 시민,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가나?

  • 강사

  • 기간

    • 2025. 3. 13 ~ 2025. 3. 27
  • 시간

    • 목 19:00 총3회
  • 수강료

    45,000

    • 파격 할인혜택
    • 참여연대 회원31,500
    • 20대 청년 22,500
    • 쿠폰적용 가능
    • 개별수강 가능
    수강신청하기⚡️
    각종 혜택 적용은 로그인 > 마이페이지에서 진행됩니다

    상세 정보



    최근 광화문, 국회 앞, 한남동, 남태령 현장에 가본 적이 있으신가요?

    아니면, 이 복잡한 상황이 언젠가 명쾌하게 끝나길 바라면서 뉴스를 보는 것을 멈추셨나요?


    광장으로 나온 정치를 둘러싸고 수많은 시민들이 얼굴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청년 세대의 참여가 두드러지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광장의 역동성을 만들어내는 이들은 어떤 사람들일까요? 한편에는 아직 얼굴을 드러내지 않은 시민들도 존재합니다. 이들은 지금 무엇을 생각하고, 느끼고 있을까요? 


    광장 안과 밖에서 정치하는 시민은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고 있을까요. 지금 한국 사회의 시민 지형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광장의 주체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한 발짝 물러서서 바라보고, 두 발짝 가깝게 이해해 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강좌 일정

    날짜

    주제 및 내용

    3.13

    광장 속 시민 : 2030 세대가 왜요? - 프레임과 프레임 외부_양승훈

    특정한 사건에 드러난 얼굴을 살펴봅니다. 뉴스를 틀거나 기사를 클릭하면 2030 남성들이 또 문제라고 합니다. 온 국민이 응원봉을 흔들 때, 거리에 나오지 않는답니다. 심지어 법원에 쳐들어 가는 폭도들의 주력까지 2030 남성이랍니다. 이런 프레임은 무엇을 보여주고 무엇을 가리고 있나요? 보수화되었다는 2030 남성들의 사정과 그들을 둘러싼 다양한 지형에 대해서 살펴보려 합니다.

    3.20

    정치 속 시민 : 세계의 민주주의 퇴행과 '12.3' 이후의 한국_신진욱

    보다 넓혀 정치의 흐름 속에서 드러난 얼굴을 살펴봅니다. 12.3 친위쿠데타 시도와 극우 폭력, 음모론의 확산은 민주주의와 헌정을 뒤흔들었을 뿐 아니라, 우리 사회의 근본 가치를 무너뜨렸습니다.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세계의 민주주의 퇴행 속에 한국 현실을 진단하고 우리의 대응을 고민해 봅니다.

    3.27

    사회 속 시민 : 청년 세대가 마주한 교차성 - 불안정노동의 새로운 성별지도와 계급의 윤곽_이승윤

    마지막으로 사회적 맥락 속에 드러난 얼굴을 살펴봅니다. 광장이 아닌 일상의 민주주의조차 위협받고 있는 이들이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 시대, 한국의 노동시장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액화노동'이라 불리는 새로운 고용형태가 확산되면서, 청년세대 내부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그런 이유와 광장 안과 밖의 시민이 어떤 연결고리가 있는지 조명해봅니다.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청년 세대의 양극화 속에서 성별경험이 교차하는 지점을 살펴보며, 청년세대가 마주한 교차성을 함께 고민해봅니다. 



    강사 소개 


    양승훈 경남대 사회학과 교수. 서울서 나고 자라 군복무와 대학원까지 서울과 인근에서 마쳤습니다. 그런데 어쩌다 일하러 조선소에 가게된 후 15년 간 경남에 지내면서 지역의 일터, 삶터에 대해서 고민하게 됐습니다. 신문 칼럼에 ‘청년논객’으로 시작한 글쟁이로서의 문제의식을, 기성세대가 된 지금까지 고이 간직해 지역 청년의 관점에서 동남권의 일터와 삶터를 해석하는 데 쓰려 합니다. 저서로 <울산 디스토피아, 제조업 강국의 불안한 미래>가 있습니다.


    신진욱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참여사회연구소 부소장과 참여연대 상임집행위원, 아름다운재단 배분위원으로 일했고 지금은 비영리활동가학교 ‘엣지’ 학과장으로 일을 돕고 있습니다. 민주주의와 국가폭력, 시민사회와 사회운동, 불평등 문제를 연구해왔습니다. 저서로 한국의 근대화와 시민사회, <시민>, <그런 세대는 없다>, <한국 정치 리부트(공저)> 등이 있습니다.


    이승윤 중앙대 사회복지학부 교수. 동아시아의 복지생산체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불안정노동자의 노동경험을 연구하고 기록하는 연구자로, 현재는 디지털 시대의 보이지 않는 노동자들의 삶과 이들을 위한 사회정책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초대 청년정책조정위원회 민간 부위원장을 역임했습니다. 2024년 <보이지 않는 노동자들>을 출간했습니다.


    강좌 정보

    일   시 : 2025. 3. 13 ~ 3. 27. 목요일 오후 7시 ~ 9시 30분, 총3회

    장   소 : 온라인(zoom)

    참가비 : 4만5천원

    계   좌 : 하나은행 162-054331-00805 참여연대

    할   인 :

    참여연대 1만원 이상 후원회원 30%(중복할인 안됨)
    20대 청년 50%, 아카데미느티나무 회원 10% 15% 쿠폰 (클릭)

    ※ 강좌 신청/취소, 결제 신청/취소, 환불 안내 등 자세한 내용(클릭)을 꼭 확인하세요.

    후기 0

    놓치지 마세요

    참여연대 회원 30% 할인혜택

    참여연대 후원회원(월 1만원 이상 후원)에게는 수강료 30% 할인혜택을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