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정보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로 마감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강좌로 또 찾아뵙겠습니다
프로그램 소개
| 
			 날짜 
			 | 
			
			 순서 
			 | 
			
			 주제 
			 | 
		
| 
			 04.18 
			 | 
			
			 1회 
			 | 
			
			 내 삶 속에서 시작하는 ‘독서클럽’ 
			- 오리엔테이션 
			<대한민국 복지에 대한 7가지 거짓과 진실> 
			어떻게, 어떤 복지국가로 갈 것 인가 
			 | 
		
| 
			 05.16 
			 | 
			
			 2회 
			 | 
			
			 복지국가의 이론  
			복지국가를 이해하기 위해서 어렵지만, 에스핑-앤더슨이라는 학자의  
			“복지자본주의의 세가지 세계’라는 책을 읽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혼자 읽으면 어렵지만 같이 읽고 토론하면 재미 있을 것입니다. 
			<복지 자본주의의 세가지 세계>  
			G. 에스핑 앤더슨. 2007. 박시종 옮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 
			 06.20 
			 | 
			
			 3회 
			 | 
			
			 복지국가와 경제  
			보편적 복지국가에 조응하는 경제체제가 있을까요?  
			이번 토론에서는 복지국가와 경제체제에 대한 공부를 해봅시다.  
			<한국복지국가의 성격논쟁II.> 정무권 엮음. 2009, 인간과 복지. 
			 | 
		
| 
			 07.18 
			 | 
			
			 4회 
			 | 
			
			 복지국가와 정치 
			복지국가의 형태와 정치체제는 상호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소망하는 보편적 복지국가를 위해서는  
			어떤 정치체제가 필요한 것일까요? 
			<우리는 한배를 타고 있다> 윤홍식 엮음. 2012. 이매진. 
			 | 
		
| 
			 08.22 
			 | 
			
			 5회 
			 | 
			
			 복지국가와 재원 
			복지국가에 조응하는 조세체제가 있을까요?  
			이 시간에는 한국사회가 (보편적) 복지국가의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지 이야기해봅시다.  
			※   읽을거리는 추가 예정  
			<적정조세부담률 추정을 통한 한국 복지국가 증세 가능성에 관한 연구>김성욱. 2013. 한국사회정책, 20(3):77-115.  
			<한국 복지국가의 저부담 조세체제의 기원과 복지 증세에 관한 연구>양재진, 민효상. 2013. 동향과 전망, 88:48-96. 
			<복지국가 조세체제의 변화: 복지국가는 어떻게 조세규모를 확대했을까?>윤홍식. 2012.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4(1): 195-226.   
			 | 
		
| 
			 09.19 
			 | 
			
			 6회 
			 | 
			
			 복지국가와 평화 
			지난 2013년은 종북 몰이에 정신이 없었습니다.  
			복지국가도, 민주주의도 북한과 관련만 되면 무기력하기 그지 없습니다.  
			과연 한반도에 평화체제의 정착 없이 복지국가가 가능할까요? 
			<평화복지국가: 분단과 전쟁을 넘어 새로운 복지국가를 상상하 
			다.>윤홍식 엮음. 2013. 이매진. 
			 | 
		
| 
			 10.17 
			 | 
			
			 7회 
			 | 
			
			 진보가 그려야 하는 복지국가: 한국복지국가의 과제 
			자신이 생각해온 복지국가의 모습에 대해 그려보고,  
			서로 이야기나누어 봅시다. 
			<한국복지국가의 성격논쟁 I.> 김연명 엮음. 2002. 인간과 복지. 
			<한국복지국가의 성격논쟁II.>  정무권 엮음. 2009. 인간과 복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