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정보
[안내] 이번 강의는 아쉽지만 신청인원 부족으로 폐강되었습니다.
이후 더 좋은 강의로 다시 찾아뵐께요! 감사합니다
워크숍 소개 |


| 
			 날짜 
			 | 
			
			 세션 
			 | 
			
			 주제 
			 | 
			
			 내용 
			 | 
		
| 
			 08.24 
			 | 
			
			 1 
			 | 
			
			 배움의 공동체 + 평화교육 비전 만들기 
			만남과 느낌, 공동체 
			마음과 몸의 열림과 소통 
			 | 
			
			 따뜻하게 만나기(워밍업) 
			표현하기 
			배움의 공동체 형성 
			평화교육 기대치 
			평화 관계 맺기 
			 | 
		
| 
			 2 
			 | 
			
			 평화와 폭력의 심층 이해 
			만남과 느낌, 공동체 
			구조적인 폭력, 문화적 폭력, 직접적 폭력의 통합적 이해와 접근 
			권력과 힘에 대한 대안적 접근 
			 | 
			
			 폭력의 역학과 구조 
			비폭력 교육의 원리와 구성 
			언어와 매체 속이 폭력 
			폭력의 힘과 평화의 힘 
			한국사회의 권력관계 
			 | 
		|
| 
			 3 
			 | 
			
			 P.E.A.C.E. 페다고지 1: 폭력에 대한 감수성과 대안적 힘, 몸과 평화 
			매체와 언어와 폭력 
			놀이와 예술로 힘 찾기 
			창조적 활동으로 평화만들기 
			몸과 평화의 상승 관계 
			재현과 재재현(퍼포먼스)의 평화교육 
			‘아하’의 순간을 만드는 여행  
			 | 
			
			 매체 속 폭력 감수성 훈련 
			권력과 힘 표현 
			매체를 이용한 페다고지 
			표현 페다고지와 평화의 힘 
			몸의 재현과 상상 
			몸과 폭력, 몸과 갈등 
			몸과 오감의 배움 
			 | 
		|
| 
			 4 
			 | 
			
			 P.E.A.C.E. 페다고지 2 : 차이, 차별, 폭력 
			차이와 차별과 폭력의 연속 관계 
			나와 우리라는 정체성과 차별 
			위아래 위계와 차별과 폭력 
			차이에 대한 감수성과 차별의 예방 
			 | 
			
			 차이와 차별 감수성 훈련 
			차별 넘어 상상하기 
			위계와 폭력의 경험 재현과 성찰 
			차별의 언어와 계기의 역학 
			다양화 전략과 개입 방법  
			 | 
		|
| 
			 08.31 
			 | 
			
			 5 
			 | 
			
			 P.E.A.C.E. 페다고지 3 : 갈등 대응 
			매체를 통한 갈등분석 
			갈등 재현의 페다고지 
			갈등의 발생, 상승, 악화의 역동성  
			개입 지점과 방법의 파악 
			P.E.A.C.E. 페다고지 적용 
			갈등 대응 교육과 기술 
			 | 
			
			 갈등 체험 말하고 낯설게 하기 
			갈등의 여러 형태와 원인 
			갈등재현, 개입, 갈등변환 실습 
			갈등 곡선, 겹, 계기 분석 
			갈등 개입과 권력 분석,  
			평화의 힘 이해 
			 | 
		
| 
			 6-7 
			 | 
			
			 P.E.A.C.E. 페다고지 4 : 낯설게 하기 진행 Facilitation 연습 
			교육과 배움도움(촉진)의 차이 
			배움도움의 원리 
			멈춤, 머뭇거림, 낯설어짐의 철학 
			배움도움과 한국 사회의 권력관계 
			배움도움과 페다고지 역량 
			 | 
			
			 연습한 평화교육 페다고지 
			보따리 싸기 
			페다고지 속의 진행 원리 
			교육 진행과 권력 관계 
			낯설게 하기 Facilitator 원리, 
			기법, 상호평가 
			시각의 독재에 대한 이해 
			비판적 미디어 독해 
			비판적 인식과 몸  
			평화교육 진행 연습 
			 | 
		|
| 
			 8 
			 | 
			
			 평화 배움 모델 만들기 
			나의 현장에서 벌어지는 갈등과 폭력의 
			   성격은? 
			   개입의 지점과 방식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역할 
			수료와 평가 
			 | 
			
			    모둠 활동:  
			   - 내 현장의 문제와 접근방법 
			   - 교안 만들기와 발표, 조언 
			   상호 평가와 제안 
			   연수 평가 
			 |